책소개
지역문학총서 19권. 마산 근대문학 백 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첫 연구서. '마산 근대문학의 탄생과 마산문예구락부', '마산 근대 예술문화 백 년', '마산 근대문학의 흐름', '마산 근대문학 백 년을 읽는 다섯 가지 잘못' 등 총 4부로 구성되었다.
목차
사진으로 보는 마산 지역문학
머리글
제1부
마산 근대문학의 탄생과 마산문예구락부
1. 들머리
2. 근대 초기 마산 지역문학의 환경
3. 동양자 김광제 지사와 마산문예구락부
4. 신구 문예 합일의 뜻
5. 마무리
제2부
마산 근대 예술문화 백 년
1. 여명기(1860~1910)의 역사 실조
2. 전환기(1910~1919)의
3. 학습기(1919~1935)와 청년
4. 우회기(1935~1945)의 훼절과
5. 정착기(1945~1960)와 예술문화의
6. 성숙기(1960~1980)의
7. 분화기(1980~2000)의
8. 성찰기(2000~현재)와 취향 예술문화
마산 근대문학의 흐름
1. 국망과 국치, 그리고 근대문학의 여명
2. 기미만세의거의 승리와 근대 학습
3. 우회기의 열정과 훼절
4. 광복과 일국주의 문학의 전개
5. 경자마산의거와 마산 문학사회의 자람
6. 1980년대 사회 개방과 문학 역동
7. 21세기 마산문학을 향해, 마산문학을 넘어
마산 근대문학 백 년을 읽는 다섯 가지 잘못
1. 들머리
2. 마산 근대문학의 기원과 장지연
3. 주류작가와 이은상의 자리
4. 마산정신과 권환 문학
5. 문학인에 대한 순혈주의 신화
6. 문학 향유에 대한 개방 인식과 마산문학관
7. 마무리
제3부
권환의 절명작 연구
1. 들머리
2. 권환의 만년과 절명작 둘레
3. 병상 평론과 현실주의 원칙
4. 절명시 「선창 뒷골목」과 현실주의의 승리
5. 마무리
권환민족문학관의 건립과 운영
1. 들머리
2. 건립의 당위성
3. 문학관의 설치와 마산의 지역 이미지
4. 운영과 문학 행정
5. 마무리
제4부
김용호 시의 세계 체험과 그 틀
1. 들머리
2. 사랑시 짜임과 내남 사이 거리
3. 뜻 잃은 자기개념과 행/불행 사이 맞섬
4. 대상 체험의 두 방향
5. 개체와 집단의 생활공간
6. 마무리[붙임] 김용호 저작물 죽보기
민족시의 한 지평, 정진업의 공론시
1. 들머리
2. 정진업 시와 공론적 감각
3. 마무리
1960년 경자마산의거가 당대시에 들앉은 모습
1. 들머리
2. 경남・부산 지역과 의거시의 발생학
3. 당대 의거시의 유형과 됨됨이
4.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표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