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북한 아동문학의 성립
북한 아동문학의 시원(始原)과 계보
1. 염군사(焰群社)
2. 카프(KAFF)
3.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
4.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해방 직후의 아동문학운동
1.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아동문학
2.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과 아동문학
3. 박세영의 전국문학자대회 보고문
4. 송완순의 아동문학론
제2부 북한 아동문학의 전개
평화적 건설 시기(1945~1950)
1. '응향(凝香) 사건' 및 '아동문화사 사건'
2.『아동문학』의 발행과 한식(韓植)의 아동문학론
3.『아동문학』의 작품 양상
4.『어린 동무』와『소년단』의 작품 양상
5. 보충-북한에서 주목한 이 시기 주요 작품
조국해방전쟁 시기(1950~1953)
1. 자연주의 비판과 '승리에 대한 신심'
2. 전시 아동문학의 양상
3. 보충-북한에서 주목한 이 시기 주요 작품
전후 사회주의 건설 시기(1953~1967)
1. 문학제도의 정착과 반종파투쟁
2. 백석(白石)과 '학령 전 아동문학' 논쟁
3.『아동문학』수록 작품의 경향
4. 보충-북한에서 주목한 이 시기 주요 작품
유일사상 시기(1967년 이후)
1. 우상화 경향
2. 장르 인식과 문학사 서술의 변화
3. 윤복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맺음말 -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북한 아동문학비평 목록
부록 2. 월간『아동문학』총목차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