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장수인의 삶과 고령사회의 미래
제1부 기능적 장수
1장 풀리지 않은 노화수수께끼_ 노화현상을 둘러싼 미스터리들
노화유전자 미스터리
산화적 손상설 미스터리
식이제한설 미스터리
수명한계 미스터리
호르미시스 미스터리
2장 노화종적관찰연구_ 노화 과정을 추적하는 연구
노화과학은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과학
왜 노화종적관찰연구가 시급한가?
노화종적관찰연구의 국내외 현황
노화종적관찰연구의 기대 효과
3장 노화 및 장수 결정 유전자_ 유전자가 노화와 장수를 좌우할까?
수명의 한계 : 노화의 진화론적 함의
장수와 노화 관련 유전자군
장수의 유전자적 특성연구 한계
4장 초장수인의 기능적 장수_ 단순 수명연장 이상의 건강 장수 개념
해외 초장수인연구 동향
한국의 백세인연구
장수 이론의 한계
초장수인연구 방법
백세인연구에서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는 기능적 장수
5장 장수의 집짓기 모형_ ‘장수’라는 집을 짓기 위한 요인
장수 요인의 분류
새로운 장수 모델의 제안 : 집짓기 모델
장수과학자 박상철의 노화 인터뷰_ 장수시대 의료의 패러다임
제2부 금빛 노화과학
6장 노화과학은 고령사회 보장보험_ 고령사회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개발
고령사회 대비 과학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령사회에 필요한 과학기술 발전 방안
노화과학기술의 추진 체계
7장 과학기술 수요 변화와 금빛 산업_ 고령화 맞춤형 기술 산업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
노화과학기술의 탄생
금빛 산업의 대두
금빛 산업에 필요한 과학기술
8장 장수인의 식생활과 장수식품 개발_ 고령인의 건강을 위한 식품 개발의 패러다임
한국 장수인의 식생활 특성
식품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 전통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건강장수를 위한 미래식품 개발과 식생활 개선
9장 남자와 여자의 장수 요인 차이_ 남녀 균등 장수 제안
장수지역의 변화와 이동 : 사회환경 요인의 영향
여성장수도의 환경 적응성
남성장수도의 문화 종속성
남녀 균등장수의 조건
고령사회 대비 지역사회의 역할
10장 노화인식 전환과 과학적 해법_ 노화를 바라보는 입체적 시각
우리 사회의 고령화, 무엇이 문제인가?
기존 노화 이론 비판
생명원리에서 찾는 노화해법
장수과학자 박상철의 노화 인터뷰_ 고령사회의 성공은 자원봉사가 핵심
제3부 장수사회 노화혁명
11장 고령화충격의 허구_ 노화혁명의 시대
고령사회에 대한 고식적 대응 방안의 한계
사회환경 개선에 따른 장수도 증가
장수사회의 고령화충격에 대한 오해
생물학적 해석을 근거로 하는 노화혁명
노화인식혁명 : 바꾸기가 아니고 고치기다
노화실천혁명 : 복원과 변화다
12장 장수의료혁명_ 장수의학과 금빛 의료
장수 패턴의 변화
고령시대 의료계의 입장 차이와 의료 수요의 변화
고령사회 의료계의 역할
금빛 의료를 위한 금빛 의학
13장 장수교육혁명_ 디지털에이징과 제2차 국민의무교육
노후생활 설계에 관련한 이론적 배경
우리나라 노후생활 설계교육 현황
선진국의 노후생활 설계교육 프로그램
디지털에이징
노후생활 설계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고령인을 위한 제2차 의무교육이 필요하다
14장 장수문화혁명_ 장수문화는 금빛 문화
장수문화란 무엇인가?
노화현상의 진정한 의미를 인식해야 한다
왜 장수문화가 추진되어야 하는가?
장수문화,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
장수문화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장수문화의 핵심은 ‘당당한 노화’다
15장 이상적 장수지역사회_ 웰에이징 세상
이상적 장수지역사회의 조건
이상적 장수지역사회 추진 방안
노화혁명 : 고령사회를 대비한 총체적 개혁이 필요하다
장수과학자 박상철의 노화 인터뷰_ 지역사회 고령화의 장점 : 가르치고 배우는 사회
닫는 글 고령화충격의 해법은 노화혁명
저자 후기 장수사회의 찬가를 부르며
부록
저자의 노화 및 고령사회 관련 저서 및 보고서 목록 일부
저자의 생물학적 노화연구 대표논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