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년 후 우리 청소년의 미래를 책임질 창의력 교육법. 2013년, 옥스퍼드 대학은 "20~30년 뒤에는 미국·영국 내 화이트칼라 직업의 47%가 사라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즉, 컴퓨터의 인공지능이 사람의 지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전하면서, 창의력과 감성을 활용한 직업군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목차
서문_ 교실에서는 왜 창의성이 필요한가?
Part Ⅰ 창의적 인물과 창의적 과정의 이해 Understanding Creative People and Process
1.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Creativity?
정말, 왜 괴로운 걸까?
시작하기: 창의성의 정의
왜 창작을 할까?
창의력 향상 교육 VS 창의적 교육
진정한 문제 그리고 과정
기준이 되는 시대의 창의력 향상 교육
이 책의 구조
2. 창의적 과정의 모델 Models of Creative Process
창의적 과정
문제의 발견
문화를 가로지르는 창의성
3. 창의성 이론-개인 Theories of Creativity-The Individual
초기의 관점
정신분석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본주의 이론
창의성 개발과 사회적 상호 작용
창의성, 지능, 인지
4. 창의성 이론-문맥 속의 체계 Theories of Creativity-System in context
체계적인 접근법
사이먼턴과 진화 모델
아마빌레, 동기 부여와 창의성 모델
창의성, 협력, 조직
5. 창의적인 사람들 Creative People
창의성과 연관된 특징
일대기적 특징: 인생 이야기로부터 배우기
창의성과 재능 계발: 교사는 무엇을 하는가?
과목, 성, 문화의 차이
어린 시절 그들은 어땠을까?
Part Ⅱ 창의성과 교실 생활 Creativity and Classroom Life
6. 창의적 사고 기술과 습관, 교육 Teaching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Habits
교실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세 가지 핵심
창의적 사고를 위한 도구
문제의 발견
확산적 사고 전략
은유와 유추의 사용
시각화와 창의적인 연출법
상업적이고 경쟁적인 프로그램
7. 콘텐츠 영역에서의 창의성-언어, 사회 그리고 예술 Creativity in the Contents Area-Language Arts, Social Studies, and the Arts
창의성과 공통 핵심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모델
언어 과목에서의 문제 발견과 해결
사회 과목에서의 문제 발견과 해결
8. 콘텐츠 영역에서의 창의성-과학, 수학 그리고 일반적인 교육 전략 Creativity in the Contents Areas-Science, Math, and General Teaching Strategies
과학 과목에서의 문제 발견과 해결
수학 과목에서의 문제 발견과 해결
내용 교육을 위한 추가 전략
9. 동기 부여, 창의성 그리고 교실 조직 Motivation, Creativity, and Classroom Organization
심리적 안전, 내적 동기 부여 그리고 흐름
교실 조직, 동기 부여 그리고 자발성: 독립성을 위한 교육
10. 평가와 창의성 Assessment and Creativity
창의성과 학습 평가
창의성 평가
눈먼 남자, 코끼리 그리고 안녕
문제-발견 수업 Problem-Finding Lessons
Lesson 1: 사람들은 문제가 필요하다
Lesson 2: 문제를 찾는 발명가들
Lesson 3: 저자들은 문제를 찾는다
Lesson 4: 흥미로운 물건 찾기
Lesson 5: 흥미로운 캐릭터 찾기
Lesson 6: 문제를 찾는 과학자들
Lesson 7: 비교하기
Lesson 8: 무슨 일이 일어날지 추측하기
Lesson 9: 당신의 아이디어에 덫 놓기
Lesson 10: 궁금증과 경탄
참고문헌
저자명 색인
주제별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