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학교사로 읽는 일본근현대사. 학교라는 시간과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요소들을 끄집어내어 그 기원을 추적한다. '1부 학교의 역사를 안다', '2부 학교의 역사를 조사한다', '3부 학교의 역사를 공부한다'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학교의 역사를 안다
제1장 메이지기明治期
1. 취학률은?
2. 수업료의 부담은?
3. 신학기는 몇 월부터?
4. 수업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은?
5. 수업시작의 모습은?
6. 학교의 휴일은?
7. 문구ㆍ교구의 보급은 어떻게?
8. 란도셀의 보급은 어떻게?
9. 교육칙어의 보급은 어떻게?
10. 학교의식은 언제부터?
11. 청일ㆍ러일전쟁 때의 학교는?
12. 한국병합 때의 교장은?
13. 메이지 천황의 ‘붕어’ 때 학교는?
제2장 다이쇼기大正期
1. 다이쇼기의 중등학교 진학은?
2. 《빨간 새》가 발간되자 학교는?
3. 간토대진재 때의 학교는?
제3장 쇼와 전전기昭和戰前期
1. 학교에 긴지로상이 세워진 것은 언제?
2. 봉안전이 세워진 것은 언제?
3. 1940년의 최대의 학교행사는?
4. 미일개전 때 교장은?
5. 도시의 아이들은 모두 소개했다?
6. ‘어진영’도 소개했다?
7. 패전의 날에 학교는?
제4장 전후기戰後期
1. 패전 직후의 학교는?
2. 먹칠을 한 영어교과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3. 패전 직후 오키나와의 학교는?
4. ‘진주군’이 교육에서 맡은 역할은?
5. 미군의 주둔으로 아이들의 생활이 받은 영향은?
6. 아이들은 신헌법을 어떻게 받아들였는가?
7. 교육기본법의 제정으로 학교는?
8. ‘메아리 학교’의 아동들은?
9. 신제 중학교의 발족은 어떻게?
10. 경제성장기의 학교는?
제5장 또 하나의 학교사
1. 아이누학교
2. 오키나와의 황민화교육
3. 격리된 교실 ― 젠쇼학원全生學園
4. 야간중학
제2부 학교의 역사를 조사한다
제1장 변천을 조사한다
1. 학교건물의 역사
│칼럼 1│ 저 달마 스토브는 어디에?
│칼럼 2│ 학교와 벚나무
2. ‘보건실’의 역사
3. 청소당번의 시작
4. 학교급식의 역사
5. 운동회의 역사
6. 소풍과 수학여행의 역사
7. 교복의 역사
│칼럼│ 다이쇼 시대 아이들의 속옷
8. 시험의 역사
9. 통지표의 역사
10. 문부성 창가의 역사
11. 놀이의 역사
제2장 부部 활동으로 조사한다
1. 학동소개
2. 히로시마의 교가
│칼럼│ 음악실 피아노에 숨겨진 점령시대사
제3부 학교의 역사를 공부한다
제1장 수업에서 공부한다
1. ‘학교’의 교재화
2. 탁본 만들기로 배우는 학교사료와 지역
3. 소학교는 어디에 세워졌을까?
4. 당시 교사의 단카로 아는 문명개화
5. 학교 연혁지로 아는 간토대진재
6. 졸업생 이시바시 단잔의 중학시절
7. 전쟁 중의 학교자료
8. 푸른 눈의 인형, 환영과 처분
9. 기관포탄, 문집, 위문 그림엽서
10. 소풍 변화의 역사
11. 교훈의 유래
제2장 학교 전체에서 공부한다
1. 사무실ㆍ서고의 사료를 탐구하다
2. 학교사를 공부하고 기록하고 표현한다
옮긴이의 말
집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