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기 일본의 근대 교육체계의 성립 과정과 교육사상의 창출과 변용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대 일본, 일본인의 자기 분열적 사유체계 형성의 메커니즘과 그 한계를 분석했던 연구 성과물을 대폭 수정,보완해 엮은, 저자의 지난 몇 년간의 노력의 작은 결과물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근대 국민국가와 교육 제1장 | 근대교육의 출발 1. 들어가는 말 2. 황도(皇道) 이데올로기의 대두 3. 근대 천황상의 확립과 ‘황도주의’ 교육 4. ‘황도주의’ 교육의 좌절과 보통교육 시행 5. 맺음말 제2장 | 학제의 교육이념 1. 들어가는 말 2. 양학에 대한 관심과 학교의 발견 3. 학제 반포 이전 4. 학제의 교육이념에 대한 재검토 5. 맺음말 제3장 | 국민국가 만들기와 교육 1. 들어가는 말 2. 학제 제정 3. 지육(智育)에서 덕육(德育)으로의 전환 4. 메이지 후기의 교육 5. 맺음말
제2부 음악 교육을 통한 국민국가 만들기 제4장 | 도덕 교육에 대해서 1. 들어가는 말 2. 국민국가 형성과 도덕 교육 3. 학제 시기의 도덕 교육 4. 교육령 시기의 도덕 교육 5. 맺음말 제5장 | 여성 교육에 대해서 1. 들어가는 말 2. 메이지유신의 교육사적 의의 3. 창가 도입을 둘러싼 제설 검토 4. 여성 교육과 창가 5. 맺음말 제6장 | 애국심 교육에 대해서 1. 들어가는 말 2. 창가 도입에 관한 정론 검토 3. 창가를 통한 애국심 교육 4. 애국창가집으로서의 『소학창가집(小學唱歌集)』 5. 맺음말
제3부 국가주의 교육과 전쟁 제7장 | 국가주의 교육에 대해서 1. 들어가는 말 2. 1885년 이전의 교육 동향과 모리 아리노리[森有禮] 3. 모리 아리노리와 국가주의 교육 4. 모리 아리노리의 국가주의 교육의 실체 5. 맺음말 제8장 | 국가주의 교육과 의식창가 1. 들어가는 말 2. 국가주의 교육과 창가 3. 학교의식과 의식창가(儀式唱歌) 4. 축일대제일창가(祝日大祭日唱歌) 5. 맺음말 제9장 | 국가주의 교육과 전쟁·전쟁영웅 1. 들어가는 말 2. 교육칙어와 군국주의 교육 3. 청일·러일전쟁과 교육 4. 창가 교육과 전쟁·전쟁영웅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경쟁을 넘어 발달 교육으로 : 발달 교육 없이 학교 혁신이 가능할까?2015 / 지음: 현광일 / 살림터
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 : 흔들리는 부모들을 위한 교육학2013 / 현병호 지음 / 양철북출판사
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 : 흔들리는 부모들을 위한 교육학2013 / 현병호 지음 / 양철북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