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박동춘의 ‘동다송’은 초의선사와 닿아 있고, 스승 응송스님과 맞닿아 있다. 선을 추구하는 맑은, 속기 없는 차향은 우리의 조급증에 죽비 같은 경책이 된다. 앞으로만 위로만 치닫는 시대에 우리에게 숨 한 번 깊게 들이쉬고 내쉬게 하는 삶의 여백을 제공한다.
목차
머리말
제一장 차나무를 키우는 즐거움
대나무 사이에 차꽃이 피었네 - 자연의 이치 속에 깃든 생(生)과 사(死)
매화차와 연담선사 - 바람결에 살며시 실려온 매화 향기
차 농가, 서리 피해 막는 법 - 대나무 사이에 차나무를 심자
차 따는 시기‘곡우’는 상징…생태변화 고려해야
제二장 명차의 조건
햇차는 언제 따나 - 비 내렸다면 이삼 일 지나야
환경이 만드는 생기 넘치는 차 - 입춘과 차 일조량
봄 맞은 다인의 마음 - 정진하듯 준비하는 채다(採茶)
좋은 햇차에 대한 기대 기품 - 품색 갖춘 차가 수행에 유용
명차(名茶)의 조건 - 순리 터득하고 화력의 완급 관건
장마철 차 보관법 - 옛 사람 ‘습기·화기 제거법’ 응용
차와 불의 관계 - 제다·탕법 핵심은 화후(火候)의 완급
제三장 차의 중심에 있는 물 - 물은 차의 몸이다
차를 마시는 온도 - 원래 우리의 차는 뜨거웠다
차와 물의 관계 - 차의 체(體)는 곧 물
어떤 물을 써야 하나 - 샘의 일조량도 차맛 좌우
운길산 수종사, 초의선사 체취에 취해 다산을 그리다
이목의 심차(心茶) - 차는 마시는 자의 마음과 융화돼 기량 발휘
추사의 편지 한 통 - 초의와의 우정 매개는 편지보다 차를 통해
물 끓이기 - 수돗물, 뚜껑 열고 끓이다 뚜껑 닫고 일 분 더
최한기의 ‘기열생풍’ - 차는 뜨거워야 함을 알려준 선조의 지혜
제四장 차와 우정
《동다송》은 원래 《동다행》이었다
〈동다송〉의 의미 초의스님과 추사는 최고의 차벗
황상과 초의스님 - 사십 년 뒤에 만나 나눈 따뜻한 정
유숙의〈벽오사소집도〉 - 《동다송》 저술 후 차저변 확대 추정자료
가을과 함께한 추사 김정희 - 초의‘차’답례로 쓴 ‘명선’
초의차의 매력 - 단 한잔 마셔본 사대부도 ‘감탄’
햇차가 주는 즐거움 - 풋풋한 차향과 다가(茶歌)를 즐기다
차 수확기의 기쁨 - 벗과 함께 햇차의 싱그러움 나눈 선조들
차의 유행 심미안 가진 열정가가 ‘신차(神茶)’ 선보여
송 휘종의 ‘문회도’ 그림으로 본 송대 다회의 극치
차의 춘궁기 - 차의 춘궁기를 나는 법
백제 유적 출토물과 다구논쟁 - 계수호는 과연 백제에서 다구로 쓰였을까
제五장 차문화
우리의 차문화 - 담박하고 소쇄한 맛과 멋 담겨
다회(茶會)의 이면 - 연차 즐길 욕심에 정작 연꽃 학대
이한영 생가 보존의 당위성 - 근대 차 산업화 초기단계 연구 유산
‘다설의 발굴’ - 차 교역 통해 국익 꿈꿨던 소중한 흔적
한국 차의 미감 - 생기 넘치는 맑고 산뜻한 맛
구양수와〈집고록발〉- 구양수가 전한 다신(茶神) 육우의 기록
차와 농약 검출 소동 - 차나무 관리는 엄격하고 양심적이어야
차의 해독성 - 소화를 돕는 실생활의 탕약
부록 1 동다송(東茶頌)
동다송은 어떻게 저술되었을까
부록 2 다신전(茶神傳)
다신전은 어떻게 저술되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