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연소와 폭발의 개요
1. 연소의 개요
1-1. 연소
1-2. 연소의 구성요소
1-3. 전기의 생성
1-4. 전기적 열 에너지
1-5. 점화원
1-6. 인화점가 발화점
1-7. 연소의 범위
1-8. 최소점화에너지
1-9. 연소형태
1-10. 산업화재
2. 전기화재
2-1. 전기화재의 개요
2-2. 전기화재의 분류
2-3. 전기설비에 의한 점화
2-4. 전기사고의 형태
2-5. 아산화동증식 발열현상
2-6. 아크·스파크와 과열
2-7. 정전기
3. 폭발의 개요
3-1. 폭발
3-2. 폭발의 형태 및 특징
3-3. 폭연과 폭굉
3-4. 비등액체 팽창증기 폭발
3-5. 증기운 폭발
제2장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1. 폭발위험장소의 개요
1-1. 폭발위험장소 개념의 도입
1-2. 폭발위험의 정도에 대한 평가
1-3. 폭발위험장소의 가스분류
2. 북미 기준에 의한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2-1. 구분절차
2-2. 변전실 및 제어실의 폭발위험장소 관리
2-3.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예시
2-4. 스프레이, 디핑, 코팅장의 지역구분
3. 국내 기준에 의한 폭발위험장소 구분
3-1. 폭발위험장소의 설정기준
3-2. 폭발위험장소의 선정 절차
3-3. 폭발위험장소 구분의 계산 예시
3-4.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예시
제3장 방폭전기기계·기구의 구조 및 종류
1. 방폭시스템의 구축
2. 전기설비에서의 점화원
3. 전기설비의 방폭기술
3-1. 내압 방폭구조(기호 “d” : flame proof enclosure)
3-2. 압력 방폭구조(기호 “p” : pressurized enclosure)
3-3. 유입 방폭구조(기호 “o” : oil immersed enclosure)
3-4. 안전증 방폭구조(기호 “e” : increased safety enclosure)
3-5. 본질안전 방폭구조(기호 “i” : intrinsically safe enclosure)
3-6. 비점화 방폭구조(기호 “n” : non sparking non incendive enclosure)
3-7. 몰드 방폭구조(기호 “m” : encapsulation enclosure)
3-8. 충전 방폭구조(기호 “q” : sand filled apparatus enclosure)
3-9. 특수 방폭구조(기호 “s” : special enclosure)
4. 방폭응용 기초기술
4-1. 고주파 방사에 의한 가연성 분위기의 점화방지 기술
4-2. 본질안전 방폭의 원리
4-3. 방폭 부품
제4장 방폭전기기기·설비의 적용 및 설치
1. 방폭 전기기기의 선정
1-1. 선정원칙
1-2. 폭발위험장소별 선정
2.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전기배선
2-1. 1종 장소
2-2. 2종 장소
3.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전선관 실링
3-1. 1종 장소의 전선관 실링
3-2. 2종 장소의 전선관 실링
3-3. 1종 및 2종 장소의 실링 핏팅
4.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케이블 실링
4-1. 1종 장소의 케이블 실링
4-2. 2종 장소의 케이블 실링
5.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드레인
6.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등기구
6-1. 1종 장수
6-2. 2종 장소
7. 가스폭발 위험장소의 가요 코드 및 접속기구
7-1. 가요 코드
7-2. 리셉터클 및 플러그
8. 본질안전 기기의 설치
8-1. 비본질안전 배선의 이격
8-2. 본질안전 배선과의 이격
8-3. 접지
8-4. 실링 및 식별
9. 저압 및 고압 케이블 공사
9-1. 저압 케이블 공사
9-2. 고압 케이블 공사
제5장 분진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1. 분진폭발
1-1. 분진폭발의 개요
1-2. 분진의 특성
1-3. 분진폭발의 특징
1-4. 분진의 폭발한계
1-5. 폭발방지대책
2. 북미 기준에 의한 분진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2-1. 지역구분의 요소
2-2. 분진폭발위험장소의 구분 예시
3. 국내 기준에 의한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3-1. 일반사항
3-2. 분진폭발위험장소의 구분 절차
3-3. 분진폭발분위기의 누출원
3-4. 분진폭발 위험장소
3-5.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범위
3-6. 폭발위험장소 구분도의 적용예시
4. 분진방폭 전기기계·기구의 구조 및 종류
5. 분진방폭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및 설치
5-1. 분진방폭 전기기기의 선정
5-2. 배선
5-3. 실링
5-4. 스위치, 차단기, 모터 제어기 및 퓨즈
5-5. 제어용 변압기 및 저항기
5-6. 모터 및 발전기
5-7. 등기구
5-8. 가요코드
5-9. 접지
5-10. 전기적 보호조치
5-11. 배선계통의 설치
5-12. 플러그 및 소켓의 설치
제6장 방폭전기기계·기구 안전인증
1. 방폭구조
2. 인증제도
2-1. 안전인증제도
2-2. 안전인증 대상품목
2-3. 안전인증 업무처리 절차
2-4. 안전인증 대상품목
2-5. 방폭기기의 시험규격
2-6. 방폭기기의 등급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