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일반사항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설명
4. 본 매뉴얼의 구성 및 특징
5. 관련법령, 기준 및 지침
6. 건설공사 단계별·참여자별 안전관리업무 내용 및 절차
제2장 발주자의 안전관리업무
1. 사업계획
1.1 안전관리 업무 총괄
1.2 위험요소의 발굴
2. 설계발주
2.1 건설안전을 고려한 설계서(과업지시서)의 작성
2.2 용지정보의 제공
3. 설계시행
3.1 설계검토
4. 설계완료
4.1 최종 설계 성과품의 검토
5. 공사발주 및 착공 이전
5.1 안전관리계획서 작성을 위한 정보 제공
5.2 안전관리계획서의 심사
5.3 안전관리비의 계상
6. 공사시행
6.1 안전관리계획서 이행여부 확인
6.2 안전관리비의 집행확인
6.3 안전점검 확인
6.4 안전교육 결과확인
6.5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조사 결과 및 조치결과의 확인
7. 공사완료
7.1 건설공사안전점검종합보고서의 보관 및 제출
7.2 설계도서의 보관 및 활용
제3장 설계자의 안전관리업무
1. 설계발주
1.1 설계조건 검토 및 확인
2. 설계시행
2.1 건설안전을 고려한 설계(안)
2.2 타 공종별 설계자와의 상호 협력
2.3 설계내용의 보고
3. 설계완료
3.1 안전관리문서의 제출
제4장 시공자의 안전관리업무
1. 공사발주 및 착공 이전
1.1 건설현장 안전관리 관계자의 업무분담
1.2 안전관리계획서 작성을 위한 정보 확인
1.3 안전관리계획서의 작성 및 제출
1.4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작성
2. 공사시행
2.1 안전관리계획서 이행
2.2 시공계획서의 작성 및 검토
2.3 건설기계 안전관리
2.4 안전관리비의 집행
2.5 안전교육의 실시
2.6 안전점검 실시
2.7 안전사고 발생시 비상동원 및 응급조치
3. 공사완료
3.1 건설공사 안전점검 종합보고서의 제출
3.2 안전관리문서의 제출
제5장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안전관리업무
1. 공사착공 이전
1.1 건설현장 안전관리 관계자의 업무부남 적정성 검토
1.2 건설공사의 안전관리계획서 검토 및 확인
2. 공사시행
2.1 안전점검 이행여부 검토
2.2 안전관리비 집행여부 검토
2.3 안전관리
2.4 안전관리결과 보고서의 검토
2.5 사고처리
3. 공사완료
3.1 건설공사 안전점검 종합보고서의 검토
3.2 안전관리문서의 검토
제6장 취약공종의 안전관리업무
1. 가시설공 안전관리
1.1 가설구조물의 시공상세도 작성 및 안전성 검토
1.2 거푸집·동바리의 시공 및 관리
1.3 거푸집·동바리의 해체
1.4 교량용 이동식 가설구조물
1.5 터널 라이닝용 거푸집 및 동바리
2. 지반굴착(터파기) 안전관리
2.1 지반조사 및 안전작업 계획수립
2.2 토질 및 암질변화에 따른 추가조사의 실시
2.3 지반굴착작업의 페이스 맵핑 실시
2.4 지반굴착작업의 안전확보 조치
2.5 흙막이 지보공의 안전확보 조치
3. 비탈면 안전관리
3.1 비탈면 조사 및 계획수립
3.2 비탈면 쌓기공사
3.2 비탈면 깍기공사
4. 계측기 설치 및 관리
4.1 계측책임자의 선임 및 직무
4.2 계측관리업무 수행계획서의 작성
4.3 취약공정 안전관리 계측계획의 수립
4.4 계측기 설치준비 및 설치
4.5 계측기 보호
4.6 계측 빈도
4.7 계측실시 및 결과보고
부록 Ⅰ: 안전관리계획서의 공사별 주요 검토항목
부록 Ⅱ: 자체 및 정기안전점검표
부록 Ⅲ: 설계안전성검토 수행 방법
부록 Ⅳ: 건설공사 위험요소 체크리스트(교량, 터널, 하천, 건축)
부록 Ⅴ: 건설공사 안전관리 지침
부록 Ⅵ: 건설사고 발생현황 보고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