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소중한 우리 문화 지식여행’은 국보와 보물, 서울, 음식, 열두 띠, 명절, 천연기념물, 직업, 부자, 역사 인물, 관혼상제 등 열 가지 테마로 나누어 우리나라 문화의 원형을 탐구한 어린이 인문교양서다.
목차
머리말
졸음을 쫓으려 대들보에 머리를 묶고 공부하다 (최치원)
최치원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신라를 대표하는 문장가, 최치원(857~?)
최치원은 조기 유학생이었다
‘공부’라는 말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공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공부하여 천지만물의 이치를 알아낸 철학자 (서경덕)
서경덕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자연을 가까이하며 살았던 큰 학자, 서경덕(1489~1546)
서경덕과 송도삼절
여성 백과 사전 <규합총서>를 지은 여성 실학자, 빙허각 이씨
서당에서 학생들은 무엇을 배우나?
조선 시대에 서울과 지방에 세워진 국립 학교, 사부학당과 향교
독서의 달인 (이황)
이황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성리학의 대가, 이황(1501~1570)
어질고 너그러운 행실로 사람들의 존경을 받은 이황
이황이 지은 도산 서당과 이황의 제자들이 세운 도산 서원
조선 시대 지방에 세워진 사립 학교, 서원
조선 시대 최고 국비 장학생, 성균관 유생
조선의 독서광 (김득신)
김득신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책을 많이 읽은 조선 중기의 시인, 김득신(1604~1684)
남편의 어깨 너머로 글을 배워 성리학자가 된 강정일당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못 말려
어렵고 힘든 조선 시대 과거 시험
과거 시험장에서 컨닝을 한 선비들
83세 어르신도 15세 소년도 과거에 급제했다?
조선 시대에 선비들은 왜 과거를 보기 전에 엿을 먹었을까?
과거 시험에서 아홉 번이나 장원한 공부의 신, 율곡 이이
한 일(一) 자를 그으며 책을 읽다 (윤증)
윤증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대쪽 같은 ‘백의정승’, 윤증(1629~1714)
노비 신분으로 독서 천재가 된 반석평
고사성어로 만나는 책벌레들 이야기
옛날에는 어떤 도서관이 있었을까?
16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 허난설헌
우리나라 최고의 여성 학자, 임윤지당
책을 사람처럼 공경한 문학가 (박지원)
박지원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조선을 대표하는 문학가이자 실학자, 박지원(1737~1805)
조선 시대에도 서점이 있었을까?
서적 중개상 ‘책쾌’와, ‘신선’이라 불린 조선 최고의 책장수 조생
조선 시대의 도서 대여점, 세책점
책만 보는 바보 (이덕무)
이덕무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수많은 책을 읽은 조선의 실학자, 이덕무(1741~1793)
책을 빌려 주는 사람은 바보?
아내를 책과 바꾼 중국 선비 이야기
별난 독서가, 김수온
책 읽어 주는 사람, 전기수
독서가 만든 큰 학자 (정약용)
정약용에게 배우는 공부법ㆍ독서법
실학의 대가, 정약용(1762~1836)
공부의 왕, 세종 대왕
책을 좋아했던 임금, 정조
왕들의 과외 공부, 경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