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우리나라 최초 사회 보장 제도를 실시한 명재상(을파소, 고구려)
고구려의 명재상, 을파소
우리나라의 빈민 구제책, 진대법과 의창
포악한 봉상왕을 몰아내고 을불을 왕으로 세운 국상 창조리
고구려의 최고 관직, 국상·대대로·막리지·대막리지
세계 최강 당나라에 맞서다(연개소문, 고구려)
고구려의 영웅, 연개소문 연개소문은
왜 <삼국사기>에 부정적으로 그려져 있을까?
다섯 자루의 칼을 차고 다닌 연개소문
연개소문의 세 아들 때문에 고구려가 멸망했다?
정승에 임명된 대문장가, 이제현
소를 타고 다닌 청백리 정승(맹사성, 조선)
조선 초의 명재상, 맹사성
맹사성 대감의 ‘공당문답’
실록을 보고자 한 세종을 만류한 맹사성
말단 관리에서 재상이 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칠까?
관료의 최고 책임자, 재상
재상 가운데 최고위직,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3정승
신임 관리의 혹독한 신고식, 신참례
조선 시대 관리들은 결근하면 매를 맞았다?
조선 시대 관리들은 언제쯤 퇴임했을까?
18년 동안 영의정을 지낸 정승(황희, 조선)
조선의 명재상, 황희
어질고 너그러운 ‘허허 정승’
강직함과 유연함을 갖춘 명재상
황희는 정말 가난했을까?
조선에서 가장 명예로운 호칭, 청백리
장마철엔 방 안에서 우산을 들고 있었던 청백리 재상, 유관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정승(유성룡, 조선)
선조 시대를 대표하는 명신, 유성룡
임진왜란 때 유성룡의 고향 안동은 어떻게 무사했을까?
임진왜란에 관한 생생한 기록, <징비록>
28세에 영의정이 된 구성군 이준
조선 왕조에서 벼슬살이를 가장 잘한 사람, 정태화
키 작은 오리 정승(이원익, 조선)·148
청백리 명재상, 이원익
대동법을 실시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이원익
산지기와 이원익
이원익이 맞이한 손녀사위 허목
사람을 볼 줄 아는 눈이 있었던 정승, 이준경
재치와 해학이 넘치는 오성 대감(이항복, 조선)·174
‘오성 대감’으로 널리 알려진 명재상, 이항복
남다른 기지로 영의정 권철의 손녀사위가 된 이항복
‘오성과 한음’ 이야기
명종의 소꿉친구이자 대쪽 정승, 정철
돼지머리를 닮아 죽을 뻔한 정승, 장순손
정조 시대의 명정승(채제공, 조선)·200
영조·정조의 유능한 충신, 채제공
《만덕전》을 쓴 채제공
채제공과 돈의동 이야기
이옥의 《장복선전》에 등장하는 채제공
황희 정승 다음가는 명재상, 상진
명재상을 살린 다리, 종침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