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지리학의 키워드는 문화와 지리이다. 19세기부터 문화를 지리학의 입장에서 탐구하며 문화의 분포와 공간적 차이, 경관에 집중했다. 문화의 터전으로서 지리, 공간, 장소는 20세기 이후의 자본주의, 교통과 통신 및 기술의 발달에 따라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목차
발간사
제1부 서론 1. 한국 문화지리학의 과거와 현재 2. 문화지리학의 접근 방법
제2부 문화지리학의 핵심 개념 3. 재현 혹은 실천으로서의 경관: 신문화지리학의 경관 이론을 중심으로 4. 장소 개념의 스펙트럼과 잠재력 5. 정체성, 인간이 공간에 새긴 흔적을 설명하다 6. 인종과 민족집단의 지리 7. 이주: 장소와 문화의 재구성 8. 페미니스트 지리학과 젠더 9. 가상 공간: 하이퍼텍스트로서의 도시
제3부 문화지리학의 연구 주제 10. 문학과 지리학의 만남, 문학지리학 11. 관광지리, 사회문학적 접근 12. 영화에 투사된 현실의 탐구: 영화지리학의 접근 방식과 연구 동향 13. 아트지리학의 가능성 탐색: 진화하는 현대 미술을 중심으로 14. 장소 기억의 정치 15. 지명의 문화 정치 16. 문화콘텐츠의 공간적 의미
집필진
서가브라우징
하늘이 빚은 나라, 부건빌 = Bougainville: the island given by God 2022 / 지음: 김근수 / 모래알
(세계사를 한눈에 꿰뚫는)대단한 지리2021 / 팀 마샬 지음; 그레이스 이스턴, 제시카 스미스 [공]그림; 서남희 옮김 / 비룡소
New 청춘, 내일로 : 내일로 기차여행 책임가이드, 2013-2014 전면 개정판2013 / 박솔희 지음 / 꿈의지도
장소의 재발견 : 우리가 살고 있는 곳들에 숨겨진 비밀2015 / 앨러스테어 보네트 ; 박중서 / 책읽는수요일
(지리 덕후가 떠먹여주는)풀코스 세계지리2023 / 지음: 서지선 / 크루:
지리의 이해 = An understanding of geography : 세계는 어떻게 다르고, 왜 비슷한가? : 해외지역연구 입문 2022 / 이윤, 도경수 지음 / 창해
(지리 샘과 함께하는)시간을 걷는 인문학 2019 / 지음: 조지욱 / 사계절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 특정한 공간·장소·경관 등에서 문화는 어떤 양식으로 나타나는가?2013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지음 / 푸른길
(사회과학을 위한) QGIS 활용과 지리공간분석 = Application of GIS and geospatial analysis in social science research 2022 / 염윤호, 최재훈 지음 / 윤성사
(언젠가 한 번쯤)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20 / 김후영 지음 / 상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16 / 김후영 지음 / 상상출판
해피 론리 데이즈 = Happy lonely days : 내 삶을 조용하게 바꿔놓은 그곳에서의 순간들2013 / 명로진 지음 / 뮤진트리
우리 나라의 세계 문화 유산. 1, 유네스코 선정편2013 / 송명석 ; 박재호 ; 김은주 지음 / 반석출판사
Tripful 후쿠오카 : 유후인 벳푸 다자이후2017 / 지음: 안혜연 / 이지앤북스
여행의 이유 : 제대로 떠나본 사람만이 찾을 수 있는 것들 ; 서울 : 티핑포인트2016 / HK여행작가아카데미2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