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펴내며│/ 함택영
│제1부│한국 외교정책의 특성과 환경
제1장 한국 외교정책과 한국 외교정책의 탐구 / 남궁곤
Ⅰ. 머리말: 외교정책과 외교정책의 탐구
Ⅱ. 한국 외교정책과 한국 외교정책의 탐구
Ⅲ. 맺음말: 이 책의 집필 방향와 구성
제2장 한국 외교정책의 특성과 결정요인 / 조동준
Ⅰ. 머리말
Ⅱ. 외교정책과 국내정치의 분리
Ⅲ. 외교정책에서 "황제 대통령"
Ⅳ. 한 지붕 아래 두 가족: 외교 통상부
Ⅴ. 맺음말
제3장 한국 외교정책 환경의 역사적 궤적과 시대적 과제 / 마상윤
Ⅰ. 머리말
Ⅱ. 국제질서의 대변환과 조선의 운명
Ⅲ. 주권회복을 위한 외교적 노력
Ⅳ. 해방과 건국
Ⅴ. 대한민국의 외교
Ⅵ. 맺음말: 역사에서 미래로
제1부 부록: <현대 한국 외교 연표>
│제2부│한국 외교정책의 역사적 의제와 쟁점
제4장 이승만 정부의 한·미동맹 정책과 한·미상호바위 조약 / 홍용표
Ⅰ. 머리말
Ⅱ. 한·미동맹 형성의 배경
Ⅲ.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이승만의 동맹정책
Ⅳ. 맺음말
제5장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과 수출지향 전략 / 류상영
Ⅰ. 머리말
Ⅱ. 경제개발과 외교정책의 환경 및 대전략: 냉전과 경제개발
Ⅲ. 수입대체에서 수출지향으로 전환: 외압인가 선택인가?
Ⅳ. 개발국가의 형성과 경제정책의 국내정치
Ⅴ. 맺음말
제6장 박정희 정부의 한·일국교정상화와 베트남 파병 / 최동주
Ⅰ. 머리말
Ⅱ. 1960년대 초반의 새로운 외교정책 환경과 목표
Ⅲ. 양로(Two-Track) 외교 전략과 대미 협상력의 증대 과정
Ⅳ. 결과 분석
Ⅴ. 맺음말
제7장 박정희 정부의 통일정책과 7·4남북공동성명 / 우승지
Ⅰ. 머리말
Ⅱ. 1970년대 국내외 환경의 변화
Ⅲ. 박정희 정부의 통일정책 목표와 전략
Ⅳ. 7·4남북공동성명 결정 과정
Ⅴ. 박정희 정부의 통일정책 집행과 현실
Ⅵ. 맺음말
제8장 전두환 정부의 외교정책과 1988년 서울올림픽 / 정기웅
Ⅰ. 머리말
Ⅱ. 전두환 정부 외교정책의 대내외적 환경
Ⅲ. 스포츠의 도구적 유용성
Ⅳ.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과정
Ⅴ. 전두환 정부 외교정책의 특징
Ⅵ. 맺음말
제9장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공산권 수교 / 전재성
Ⅰ. 머리말
Ⅱ. 북방정책의 정책 환경
Ⅲ. 북방정책의 개념과 전략목표
Ⅳ. 북방정책의 수립 및 결정 과정
Ⅴ. 북방정책의 실행과정
Ⅵ. 맺음말
제10장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과 제1차 북한 핵 위기 / 황지환
Ⅰ. 머리말
Ⅱ. 김영삼 정부의 외교안보환경
Ⅲ. 김영삼 정부의 대북전략고 추진방향
Ⅳ. 제1차 북한 핵 위기와 대북정책
Ⅴ. 제네바 합의와 경수로 건설 지원
Ⅵ. 맺음말
제11장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정책과 IMF 경제위기 / 이상환
Ⅰ. 머리말
Ⅱ. 국제정치경제 시각에서 본 한국의 경제발전
Ⅲ. 국제정치경제 시각에서 본 1997년 전후 한국의 경제위기와 그 해법
Ⅳ. 김영삼 정부의 대외경제정책에 대한 외교정책 결정요인 분석
Ⅴ. 맺음말
제12장 김대중 정부의 문화개방 정책과 일본문화개방 / 정정숙
Ⅰ. 머리말
Ⅱ. 일본문화개방 정책결정의 대내외적 환경
Ⅲ. 일본문화개방 정책의 목표와 외교전략
Ⅳ. 일본문화개방의 정책결정과정: 정부와 민간의 역할
Ⅴ. 일본문화개방 정책의 집향: 절차와 구현 내용
Ⅵ. 맺음말
제13장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과 6·15남북정상회담 / 김학노
Ⅰ. 머리말
Ⅱ. 햇볕정책의 국내외적 환경
Ⅲ. 햇볕정책의 목표와 전략
Ⅳ. 6·15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
Ⅴ. 6·15남북정상회담의 실행 과정
Ⅵ. 햇볕정책과 6·15남북정상회담의 의의와 문제점
Ⅶ. 맺음말
제14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정책과 한·미동맹 / 배종윤
Ⅰ. 머리말
Ⅱ. 노무현 정부의 외교 전략과 한국외교의 주도적 위상
Ⅲ. 노무현 정부의 주요 외교정책과 한·미동맹
Ⅳ. 주요 외교정책의 전략적 판단과 한계
Ⅴ. 맺음말
제15장 노무현 정부의 FTA 정책과 한·미 FTA 추진 과정 / 이승주
Ⅰ. 머리말
Ⅱ. FTA 정책의 국내외 환경
Ⅲ. FTA 정책 목표와 외교 전략
Ⅳ. FTA 로드맵을 통한 추진전략의 구체화
Ⅴ. FTA 정책 실행
Ⅵ. 맺음말
제16장 한국 외교정책의 새 패러다임과 과제 / 이신화
Ⅰ. 머리말
Ⅱ. 변환하는 국제질서와 외교안보페러다임
Ⅲ. 새로운 외교 양상과 한국 외교정책의 선택
Ⅳ. 맺음말: 한국 외교정책의 발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