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부 기원론 - 한반도문제란 무엇인가: 기원과 과제, 강대국 관계
제1장 한반도문제란 무엇인가: 기원과 과제 강대국 관계
제2장 한반도문제의 기원
1. 한반도문제의 원점: 식민지배와 민족분단
2.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3. 체제경쟁의 귀결: 북한의 핵개발
제3장 한반도문제의 해결을 위한 3대과제: 국제 비교
1. 한반도 비핵하의 실현
2. 한반도 평화협정의 체결
3. 한반도 통일의 국제적 승인
제4장 한반도문제의 해결과 강대국 관계
1. 미국, 중국과 한반도 비핵화
2. 미국, 중국과 한반도 평화협정
3. 미국, 중국과 한반도 통일
제5장 한반도 문제의 해결과 동북아 평화번영
제2부 비핵론 - 북핵문제의 새로운 접근법: 포괄적 안보-안보 교환
제1장 핵보유는 김정일 시대의 유업인가?
제2장 북한 핵문제의 전개과정
1. 제1차 북핵위기와 북ㆍ미 제네바 기본합의
2. 제2차 북핵위기와 9.19공동성명
3. 제3차 북핵위기와 6자회담 재개 문제
제3장 기존 북핵 접근법의 평가:‘경제ㆍ안보 교환’비판
1.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전력화
2. 남한의 핵억제력 강화와 북한의 안보딜레마
3. 남한정부의 북핵 접근전략
제4장 새로운 북핵 접근법의 모색:‘안보ㆍ안보 교환’
1. 기존 접근법의 한계와 ‘안보ㆍ안보 교환’접근법
2. 무엇을 교환할 것인가: 북핵과 평화구축의 과제
3. ‘포괄적 안보ㆍ안보 교환’의 3대 추진방향
제5장 ‘포괄적 안보ㆍ안보 교환’의 특징과 추진방향
1. ‘포괄적 안보ㆍ안보 교환’의 제안 배경 및 성립조건
2. 무엇을 교환할 것인가: 북핵과 평화구축의 과제
3. ‘포괄적 안보ㆍ안보 교환’의 3대 추진방향
제6장 북핵문제 해결과 당사국들의 협력
제3부 평화론 -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남북연합: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단계적 접근
제1장 왜 한반도 평화체제의 수립이 시급한가?
제2장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경과
1. 군사정전협정의 체결과 제네바 정치회의
2. 냉전해체와 남북고위급회담
3. 군정위, 중감위 기능마비와 4자회담
제3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3대 조건
1. 국제법 측면: 군사정전협정 종료 및 평화협정 체결
2. 군비통제 측면: 군사적 긴장완화와 전쟁 재발방지
3. 국제관계 측면: 평화적 안보환경의 조성
제4장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서 잠정협정의 필요성
1. 왜 잠정협정이 필요한가
2. 역대‘잠정협정’의 제안 및 합의
3. 포괄적 잠정협정으로서의 ‘남북관계기본협정’
<보론> 외국의 평화조약 및 잠정협정 사례
제5장 한반도 평화체제의 3개 국면 프로세스
1. 제1국면: 남북 신뢰관계의 재구축
2. 제2국면: 낮은 수준의 안보-안보 교환과 남북관계기본협정
3. 제3국면: 높은 수준의 안보-안보 교환과 한반도 평화협정
제6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남북연합 수립
제4부 통일론 - 통일론의 재구성: 화해와 상생의 통일 구상
제1장 새로운 통일론의 필요성
제2장 남북관계와 통일논의의 현주소
1. 남북관계의 현주소
2. 기존 통일방안에 대한 평가
제3장 바람직한 통일의 비전과 방식
1. 통일의 법적 환경
2. 통일의 최종 상태
3. 통일의 추진 방식
제4장 화해ㆍ상생 통일론의 기본원리와 추진방향
1. 왜 화해ㆍ상생 통일론인가
2. 화해ㆍ상생 통일론의 기본원리
3. 화해(和解): 통일의 필요조건
4. 상생(相生): 통일의 충분조건
제5장 화해ㆍ상생 통일론과 통일경로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