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이 책을 펴내며:무지개의 인문학
제1부 문학과 과학의 접점
제1장 신 없는 자연 / 황종연
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제2장 1910년대 이광수 문학과 감정의 현상학 / 이수형
제3장 ‘조선의 미래’ 혹은 문명과 과학의 서사 / 서희원
이광수 초기 논설과 소설을 중심으로
제4장 한국 근대소설과 ‘의식의 흐름’ / 이철호
베르그송, 제임스,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제2부 과학이라는 이상, 보편이라는 우상
제5장 카프 초기 문예론의 전개와 과학적 이상주의의 영향 / 송민호
회월 박영희의 사상적 전회 과정과 그 의미
제6장 사실, 방법, 질서 / 차승기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
제7장 단군, 조선학 그리고 과학 / 정종현
식민지 지식인의 보편을 향한 열망의 기호들
제3부 과학적 상상력과 문명의 스캔들
제8장 외부에서 온 과학, 내부에서 솟아난 ‘소문과 반응’들 / 신지영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로 형성된 ‘과학적인 것’
제9장 1920년대 과학소설 수용 양상 연구 / 송명진
영주생(影洲生)의 『80만 년 후의 사회』를 중심으로
제10장 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 한민주
제11장 과학의 영도(零度), 원자탄과 전쟁 / 권보드래
『원형의 전설』과 『시대의 탄생』을 중심으로
제4부 근대 과학의 원초적 장면
제12장 ‘科學’이라는 일본어 어휘의 조선 전래 / 김성근
제13장 초기 일본 유학생들의 학회활동을 통한 과학문화의 기여 / 이면우
1895~1910
제14장 학회지의 사이언스 / 조형래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