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다루려 할 때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미메시스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은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질문하고 대답한다. 문학작품의 내용은 현실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목차
서문 1 게오르크 루카치, 총체적 반영론과 서사 이론 2 테오도르 아도르노, 변증법적 형식주의와 미메시스 3 발터 벤야민, 언어적 미메시스와 예술적 미메시스 4 자크 데리다와 폴 드 만, 미메시스와 현전의 형이상학 5 프레드릭 제임슨, 마르크스주의 해석학과 미메시스론의 재구성 6 질 들뢰즈, 미메시스 예술론에서 도주하기 후기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문학 古典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2017 / 지은이: 강유원 / 라티오
두 비교문학자의 편지: 문학과 미술의 경계2021 / 지음: 강정화, 신이연 / yeondoo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 현대문학에서의 시간의 문제 2018 / 지음: 나병철 / 문예출판사
문학으로의 모험 :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상 세계들로의 여행2017 / 박중서 옮김 / 현대문학
멜랑콜리2015 / 박혜정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2017 / 지음: 피터 브룩스 ; 옮김: 박인성 /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실존 : 현대문학과 실존철학의 대화2014 / 신옥희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포스트미메시스 문학 이론 : 루카치에서 들뢰즈까지 2018 / 지음: 오길영 / 느티나무책방
현대문학이론의 길잡이2017 / 지음: 오민석 / 시인동네
텍스트,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예학2017 / 유현주 지음 / 문학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