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학습 대상 언어와 학습자의 모국어 간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대조언어학 개괄',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어휘범주별 특성', '단어형성법', '문장의 종류', '표현 및 담화' 등 13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제1장 대조언어학 개괄
1. 들어가기
2.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
2.1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2.2 언어 유형론과 대조언어학
3. 대조언어학의 외국어 학습 가설
3.1 대조 분석
3.2 오류 분석
3.3 중간언어
4. 대조언어학의 연구 방법
5. 대조언어학의 분야
5.1 음운 대조
5.2 형태 대조
5.3 통사 대조
5.4 어휘 대조
5.5 표현 및 담화 대조
6. 대조언어학과 외국어 교육
제2장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1. 들어가기
1.1 언어의 수
1.2 언어 사용 인구
2. 어족의 종류
2.1 아시아 지역
2.2 유럽 지역
2.3 아프리카 지역
2.4 아메리카 지역
제3장 모음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자연언어 음소 체계의 특성
3.1 음소의 수
3.2 모음 대 자음의 비율
4. 언어별 모음 체계
4.1 언어별 단모음 체계
4.2 언어별 이중모음 체계
5. 모음의 유형적 보편성
제4장 자음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자연언어 자음 체계의 특성
4. 언어별 자음 체계
4.1 한국어의 자음 체계
4.2 영어의 자음 체계
4.3 일본어의 자음 체계
4.4 중국어의 자음 체계
5. 언어 간 자음 목록 대조
6. 보편성에 따른 자음 체계 대조
6.1 공명음
6.2 장애음
제5장 음절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음절구조의 구성요소와 유형
3.1 음절구조의 구성요소
3.2 음절구조의 유형
4. 언어별 음절구조
4.1 한국어의 음절구조
4.2 다른 언어의 음절구조
5. 초분절음소
5.1 성조
5.2 장단
5.3 악센트
5.4 억양
제6장 음운현상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종성 제약
4. 자음동화
4.1 조음 위치 동화
4.2 조음 방법 동화
5. 구개음화
6. 자음 약화 현상
제7장 어휘범주별 특성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명사
3.1 일반적 특징
3.2 한국어 명사의 특징
3.3 다른 언어의 경우
4. 인칭대명사
4.1 일반적 특징
4.2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특징
4.3 다른 언어의 경우
5. 동사
5.1 일반적 특징
5.2 한국어 동사의 특징
5.3 다른 언어의 경우
6. 형용사
6.1 일반적 특징
6.2 한국어 형용사의 특징
6.3 다른 언어의 경우
제8장 단어형성법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형태소의 분류
3.1 실질적 의미 유무에 따른 분류
3.2 자립성 유무에 따른 분류
3.3 기능에 따른 분류
4. 접사
5. 단어의 형성
5.1 단어의 분류
5.2 굴절, 파생, 합성
6. 단어 구조의 대조
6.1 통합성에 따른 분류
6.2 융합성에 따른 분류
제9장 어순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기본성분의 순서
3.1 고정어순과 자유어순
3.2 자연언어에서의 기본성분의 순서
4. 다른 어순
4.1 명사구 내부의 어순
4.2 동사구 내부의 어순
제10장 시제와 상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시제
3.1 시제의 구분
3.2 시제의 문법적 체계
3.3 언어별 시제의 특징
4. 상
4.1 상의 분류
4.2 언어별 상의 특징
제11장 문장의 종류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문장의 분류와 기준
4. 문장의 종류
4.1 평서문
4.2 의문문
4.3 명령문
4.4 부정문
제12장 어휘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어휘장을 활용한 어휘 대조
3.1 대응되는 어휘가 없는 경우
3.2 하나의 어휘에 대응되는 어휘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4. 상위어와 하위어를 활용한 어휘 대조
5. 유표성과 저지를 활용한 어휘 대조
6.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를 활용한 어휘 대조
6.1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
6.2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6.3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
7. 합성어 구성 순서 대조
제13장 표현 및 담화
1. 들어가기
2. 학습자 오류
3. 주제 중심 언어와 주어 중심 언어
4. 상황 중심 언어와 인간 중심 언어
5. 청자 중심 언어와 화자 중심 언어
6. 존재 중심 언어와 소유 중심 언어
7. 부분 기술 언어와 전체 기술 언어
8. 신정보와 구정보
9. 지시 표현
10. Macro to Micro 언어와 Micro to Macro 언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