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각, 추리, 자상, 공상, 논증인, 논증대상, 본질로서의 논증인, 결과로서의 논증인, 비인식으로서의 논증인, 본질적 관계, 인과성의 관계, 동일성의 관계 등 불교인식론의 핵심 개념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 달라이 라마
책머리에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들어가는 말
1. 실체 존재론과 비실체 존재론의 이분법
2. 불교의 비실체적 존재론
3. 불교사상의 역사
4. 설일체유부
5. 경량부
6. 중관학파
7. 유식학파
8. 유식 인식론의 발전과정
1장. 불교지식론
1. 지식의 분석
2. 인식수단의 문제
3. 인식결과
4. 자기현현의 이론
5. 대상형상의 개념
6. 명료한 현현과 불명료한 현현
7. 대상에 의한 인식수단의 확정 이론
8. 지식의 대상들
9. 지식의 종류
2장. 불교지각론
1. 지각의 정의
2. 지각을 정의하는 세 가지 방식
3. 지각에 대한 바수반두의 정의
4. 지각에 대한 디그나가의 정의
5. 착오적 인식, 추리 등과 구별되는 지각
6. 왜 대상지각이 아니라 감관지각인가?
7. 지각에 대한 다르마키르티의 정의
8. 지각은 인식수단인가?
9. 분별이란 무엇인가?
10. ‘비착오’라는 형용사가 꼭 필요한가?
11. 지각의 본질
12. 지각의 유형
3장. 불교추리론
1. 인식수단으로서의 추리
2. 디그나가 이전 사상가들 저술에서의 추리
3. 디그나가 저술에서의 추리
4. 추리의 타당성
5. 추리의 본질
6. 인식수단의 한정 이론의 맥락에서 지각과 추리 사이의 관계
7. 추론적 판단의 본성에 관한 분석
8. 추리의 정의
9. 추리의 구성요소
10. 논증인이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조건 이론
11. 논증식을 구성하는 지분
참고문헌
부록.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Nyāyapraveśakasūtram)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