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교 인식론과 논리학 : 불교 인식논리학, 합리적 종교와 성스러운 철학을 꿈꾸다
발행연도 - 2014 / 지음: 카츠라 쇼류 외 ; 옮김: 권서용 / 운주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21519
-
ISBN
9788957463888
-
형태
334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불교
>
불교교리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신화/종교학
>
종교학
책소개
디그나가와 다르마키르티에 의해 정초된 불교의 인식론과 논리학을 존재론, 인식론, 논리학, 진리론, 언어철학의 관점에서 그 형성과정과 내용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최신의 연구 성과를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불교 인식논리학 안내서!
목차
시작하며∙5
역자 서문∙9
제1장 불교논리학의 구조와 그 의의∙17
[카츠라 쇼류(桂紹隆)]
1. 시작하며-인도철학체계 속의 불교∙18
2. 인도논리학의 간략한 역사∙22
3. 불교논리학의 기본적 구조∙34
4. 마치며-불교논리학의 존재이유∙64
제2장 존재론 ━ 존재와 인과∙69
[이나미 마사히루(稻見正浩)]
1. 시작하며∙70
2. 참으로 존재하는 것=인과효력을 갖는 것∙72
3. 인과관계는 존재하는가?∙90
4. 마치며∙110
제3장 인식론 ━ 지각의 이론과 그 전개∙115
[후나야마 토루(船山 徹)]
1. 시작하며∙116
2. 프라마나는 2종뿐∙119
3. 지각과 개념 ∙121
4. 직접지각의 정의∙124
5. 직접지각의 종류∙126
6. 직접지각의 대상∙133
7. 요가수행자의 직접지각과 보편∙138
8. 마치며∙142
제4장 논리학 ━ 법칭의 논리학∙147
[이와다 다카시(岩田 孝)]
1. 시작하며∙148
2. 불교논리학의 추론에서 사고형식의 특색∙150
3. 법칭의 논리학의 특색∙157
4. 마치며∙180
제5장 진리론 ━ 프라마나란 무엇인가?∙183
[오노 모토이(小野 基)]
1. 시작하며∙184
2. 디그나가에 이르는 프라마나의 개념사∙184
3. 디그나가와 다르마키르티의 프라나마관의 차이∙188
4. 다르마키르티의 ‘프라마나의 정의’와 그 의미∙195
5. 진리론∙209
6. 마치며∙217
제6장 언어철학 ━ 아포하 이론∙221
[카다오카 케이(片岡 啓)]
1. 아포하 이론의 연구사∙222
2. 아포하 이론의 전개∙225
3.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227
4. 쿠마리라에 의한 아포하 비판∙234
5. 다르마키르티의 아포하 이론∙241
6. 다르못타라의 아포하 이론∙250
7. 세 개의 아포하 이론∙252
8. 결론∙255
제7장. 전지자 증명과 윤회의 증명∙261
[모리야마 신야(護山眞也)]
1. 종교적 명제에 대처하는 논리학적 방법∙262
2. 전지자 증명∙266
3. 윤회의 증명∙279
4. 결어∙292
제8장 ‘찰나멸’ 논증 ━ 시간실체에 대한 도전∙295
[타니 타다시(谷 貞志)]
1. 탈문헌학적 고찰 ∙296
2. 두 개의 찰나멸-언어∙추론 차원과 지각 차원∙305
3. 찰나멸 논증∙310
4. 논증 A와 논증 B의 차이∙316
5. ‘추론대상으로서의 찰나멸성’의 지각 대상화∙321
6. ‘시간실체(time substance)’의 거부∙323
7. 서양의 시간론에서 시간실체와 과학주의∙326
8. 보이지 않는 순환-해석학적 순환의 문제∙329
9. 시간실체는 허구인가?∙330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