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북한 권력 3대 세습의 권좌를 꿰찬 김정은, 그는 권력의 정점에 설 수 있을까?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친 권력 계승의 실상과 북한의 국가 시스템 변천을 살펴보고, 지도부가 어떻게 형성되어 오늘날과 같은 권력 형태가 되었는지 검증하고 있다. 이 책은 희망과 절망이 공존하는 북한과 그 권력구조의 분석을 통해 평화로운 한반도의 미래를 열어가는 데 디딤돌이 될 것이다.
목차
한국독자 여러분께
머리말
제1장 후계자의 등장
'당 대표자회의' 소집
당 대표자회의 개최 연기
김정은, '대장'에 오르다
당 총서기에 재추대되다
김정은의 공식 등장
'2인자'는 없다
김경희의 대두
진척을 보이지 못한 세대교체
실무자들의 기용
당 규약 개정
제2장 후계자 김정은 추대 세력
신군부와 리영호 총잠모장
당 중앙군사위에 결집한 '신군부'
태자당
공안기관
사로청 인맥
조직지도부
각 도당 책임비서 출신들
제3장 김정은 후계체제 만들기의 시작
'선군'과 '당의 영도'의 조화
국방위와 당 중앙군사위
김정일 총서기의 후계 준비작업
제4장 김일성 시대의 지도부 변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北朝鮮分局)
북조선노동당
조선노동당
한국전쟁과 김무정, 허가이의 숙청
남로당파의 숙청
8월 종파 사건
갑산파 숙청
제5차 당 대회
사회주의헌법과 국가주석
김정일 후계로의 길
공동통치로부터 김정일 통치로
1992년 헌법
제5장 김정일 시대의 지도부 변청
김일성 주석 사망 시의 국가장의위원회 서열(1994년 7월 9일)
김일성 주석 중앙추도대회(1994년 7월 20일)
오진우 인민무력부장 국가장의위원회 서열(1995년 2월 25일)
김일성 주석 사망 1주년 중앙추모대회(1995년 7월 7일)
조선노동당 창건 50주년 기념행사(1995년 10월 10일)
김일성 주석 사망 2주년 중앙추모대회(1996년 7월 8일)
최광 국가장의위원회(1997년 2월 22일)
조선인민군 창건 65주년 열병식(1997년 4월 25일)
김일성 사망 3주년 중앙추모대회(1997년 7월 8일)
김정일의 당 총서기 추대(1997년 10월 8일)
최고인민회의 제 10기 대의원 선거(1998년 7월 26일)
김정일 '최고직책'의 국방위원장에(1998년 9월 5일)
개혁적 지향|제2기 국방위원회
수구노선으로의 회귀와 선군체제
김정일의 건강 악화
선군 체제
제6장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통치 스타일
만경대혁명학원
현지지도
제3경제
'종파'의 배제
정년제가 없는 지도부
부친은 내각 배려, 아들은 당 우선에서 군 우선으로
부장 공석은 직접통치 때문
당 조직지도부로의 집권(集權) 시스템
결재는 화 수 목요일에 집중
간부의 '혁명화'와 '재기용'
파티 정치
제7장 김정일 총서기의 측근들
김정일의 현지지도와 측근
두 사람의 사망
김정일 시대의 가신들
김정일 시대의 군부 측근들
제8장 김씨 로열패밀리
로열패밀리의 붕괴
제9장 군부 쿠데타는 일어날 것인가
암살 가능성
제10장 김정은 후계체제의 과제
'수령'의 계승
우상화 작업
실적 만들기
제11장 김정은 후계를 둘러싼 정세
국방위원회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친도 세습에 반대
김정은의 '발언', '노작'
후계자의 기관 결정은?
김정일의 건강에 관한 전망들
모기장식 전략
남북 경제협력
북-중 경제협력
국내는 계획통제경제 지향
북-중 혈맹관계의 부활
북-미 협의와 핵문제
제12장 강성대국의 문 앞에서
연평도 포격
인민생활의 향상
국가경제개발 10개년 계획
대결인가 대화인가
제13장 북한의 체제 메커니즘과 민중
유일지도체계에 의한 정치적 다원서의 소멸
유일사상체계에 의한 사상적 다원서의 소멸
책임을 지지않는 지도자
천만 군민
선군체제
선군에서 선민으로
김정은의 인적 사항
북한 주민의 '침묵의 저항'
좋은 이웃이 되기 위해서
지은이 후기
옮긴이 후기
부록
자료 1 조선노동당 규약 서문
자료 2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명부
자료 3 조명록 국방위 제1부위원장 국가장의위원회 발표 서열
자료 4 김정일 총서기 국가장의위원회 232명 발표 서열
자료 5 북한의 주요 사건 일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