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현대사의 기점으로 삼고 있는 1920년대 중반부터 새로운 후계자가 등장한 2010년까지의 북한역사를 포괄하는 <인물로 본 북한현대사>. 다양한 증언과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에 북한현대사와 북한의 정치지도자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과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 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
북한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01 김일성(1) :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투쟁, 어디까지 사실인가 남한 학계의 연구현황 1_김일성 위조설=김일성 가짜설 2_중국공산당 종속론 3_실증적 연구경향 북한 학계의 연구현황 1_제1기의 연구성과와 특징 2_제2기의 연구성과와 특징 3_제3기의 연구성과와 특징 4_항일무장투쟁사의 특징 쟁점과 과제 1_'조선인민혁명군'의 독자성 문제 2_조국광복회의 결성과 활동 3_소할바령회의 이후 항일유격대의 활동과 해방 4_항일무장투쟁의 의의
02 김일성(2): 북한의 '수령제 사회주의'는 어떻게 형성됐나 수령제 정치체제의 확립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 유일적 영도체제 완성 사회주의헌법 제정 유일체제 형성에 대한 반발 김정일의 등장
03 김일성(3) : 최대의 정치적 위기- '8월 종파사건'의 전모 일부 연안파 1956년 8월 전원회의에서 김일성 개인숭배 비판 박헌영 사형 집행 만류한 소련, 강행 의지 밝힌 김일성 '조선에 소련공산당 책임 있는 지도원을 파견해 달라' 김일성, 한때 집단지도체제 고려
04 김일성(4) : 친소·친중파 배제 독자노선 본격 추진 김일성, 배신자로 몰아간데 흥분 '반당종파분자' 차례로 숙청 연안파, 소련파와 김일성 이간책동 김일성 중·소 틈바구니서 '독자노선' 본격화
05 조만식: "고당(古堂)은 서울에 오려고 했다" '고당의 평양 총살설'을 뒤엎는 증언들 강계로 가던 중 피살 고당은 1947년 서울에 오려고 했다 미군정의 연락 관계 문서로 확인 전쟁 전 마지막 기회도 무산
06 이승엽 : 친일과 전향의 길, 그리고 비극적 최후 일제시기 사회주의운동에 참가 전향 조선공산당 재건에 참여 남로당과 미군정에 양다리를 걸치다 월북 후 활동과 '박헌영·이승엽사건' 친일파 미청산이 발목
07 박영빈 : 전(前) 북한 부수상 허가이 자살사건의 전모- '허가이의 유서, 직접 보았다' 북한정권의 비화를 털어놓은 전 고위간부 해방 후 소련군이 선발해 북한에 파견 여운형 지지발언 했다. 정치보위부에 불려가 '허가이 유서, 직접 보았다' '8월 종파사건'은 소련과 중국의 입김 작용 통일을 보고 죽는 것이 유일한 소망
08 피메노프 : "'8월 종파사건'은 우리가 기대하지 않은 일이었다." 【자료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956년 사건에 대하여 【자료 2】1956년 조선노동당 9월 전원회의 결정서
09 김정일(1) : 성장과정과 후계체제 확립 김정일의 출생과 성장 과정 1_출생을 둘러싼 논쟁 2_귀국과 학생시절 김정일의 등장과 후계자 결정 과정 1_후계자 부상 과정 2_후계자 논의 배경과 결정 과정 유일지도체제 확립 1_유일사상체계의 확립 2_노동당의 개편 3_군대 조직의 개편 4_정권기관의 개편 맺음말 【자료 3】김정일 주요 경력
10 김정일(2) : 김정일 시대의 북한- '새로운 사고'와 '우리식 사회주의'의 공존 【자료 4】'6·15남북공동선언'(2000년 6월 15일 평양) 【자료 5】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합중국 사이의 공동콤뮤니케
11 연형묵 : 북 '혁명2세대'의 맏형 홍명희 선생 곁에 잠들다 김 위원장 직접 조문 연 부위원장은 김일성 주석의 '친위중대' 출신 3대혁명소조운동 중앙책임자로 활동 "동지가 없으면 김정일이도 없다"
12 김정은 : '포스트 김정일체제' 북한의 후계자 항일빨치산들 해방 직전 김일성 주석을 책임자로 추대 김정일 후계자 등장에도 결정적 역할 항일빨치산 2세 리영호 총참모장이 핵심인물 상대적으로 젊은 빨치산 2세대와 3세대가 뒷받침 "당 결정이 곧 인민의 결정" 후계자 김정은 누구인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전 점검 김정은 후계자의 첫 직책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후계자 단일지도체제 수립될 것 당 대표자회 이후 북한의 정책 전망 "상호신뢰의 전범의 구축하자" "9·19공동성명을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 "금강산 당국회담 하루빨리 갖자" 한국과 중국의 역할 중요
서가브라우징
고개숙인 수정주의2001 / 전상인 저 / 전통과현대
잡동산이 현대사 . 1 , 일상·생활 2023 / 지음: 전우용 / 돌베개
잡동산이 현대사. 2, 사회·문화 2023 / 지음: 전우용 / 돌베개
잡동산이 현대사. 3, 정치·경제 2023 / 지음: 전우용 / 돌베개
찢겨진 산하2002 / 정경모 지음 / 한겨레신문사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 나라를 팔아먹고 독립운동가를 때려잡던 악질 매국노 44인 이야기2016 / 지음: 정운현 / 인문서원
(인물로 본)북한현대사2002 / 정창현 지음 / 민연
인물로 본 북한현대사 : 김일성에서 김정은까지2011 / 정창현 지음 / 선인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 현대사 : [청소년] 2024 / 지음: 조성일 / 주니어태학 :
사건으로 보는 시민운동사 : 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꾼 한국시민운동 20장면2014 / 차병직 지음 / 창비
사건으로 보는 시민운동사 : 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꾼 한국시민운동 20장면2014 / 차병직 지음 / 창비
1948: 대한민국 건국 이야기2019 / 지음: 강규형, 김용삼, 남정욱, 정경희 / 기파랑
격동의 해방 3년1996 / 崔永禧 著 / 한림대학교출판부
한국인의 발견 : 한국 현대사를 움직인 힘의 정체를 찾아서2016 / 지음: 최정운 / 미지북스
(브루스 커밍스의)한국 현대사2001 / 브루스 커밍스 저 ; 김동노 외 옮김 / 창작과 비평사
같이 빌린 책
인천상륙작전秘史 : 또 하나의 트로이 목마, 전쟁의 역사를 바꾸다2016 / 지음: 주치호 / 오렌지연필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2014 / 존 에버라드 지음 ;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극장국가 북한 :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 North Korea : beyond charismatic politics2013 / 권헌익, 정병호 지음 / 창비
김정은 체제 : 북한의 권력구조와 후계2012 / 히라이 히사시 지음 ; 백계문, 이용빈 옮김 / 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