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김기정 교수(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의 칼럼집이다. 2000년 이후 21세기 첫 10년 동안, 언론을 통해 발표했던 칼럼들을 21세기 국제정치, 남북한 관계, 한국 외교, 그리고 한국 정치사회의 자화상 등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 다시 묶었다. 거기에 더하여 저자는 각 칼럼들을 쓰게 되었던 당시의 시대 환경을 프롤로그 또는 에필로그 형식으로 덧붙여 지난 10년 동안 한국이 걸어왔던 시대의 흔적을 하나의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목차
I 21세기 국제정치
01 21세기 국제정치, 어디로 가야 하나
02 이라크 전쟁과 미국의 위기
03 전쟁과 패권의 쇠퇴
04 반미정서와 미국 공공외교
05 자유의 확산?
06 문화와 국제정치
07 독도문제와 기억의 정치
08 중국 위협론 해부
09 북한 미사일 후폭풍과 동아시아
10 ARF 와 동아시아 안보질서
11 정체성의 국제정치
12 세력균형론과 안보 딜레마
13 가장 정확한 미래 예측은 미래를 만드는 것
14 동아시아의 미래, 인식과 관념이 중요하다
15 미국외교의 딜레마: 보편가치와 국익사이
II 21세기 한반도, 북한 핵 문제와 남북관계
16 2000년 남북정상회담
17 2000년 조명록의 워싱턴 방문과 북·미 관계의 급해빙무드
18 부시 정권의 탄생과 북·미 관계 경색
19 김대중 정부 대북 정책의 역사적 의미
20 6자 회담과 9·19 공동성명에 이르는 길
21 북한의 벼랑 끝 전술과 한반도 위기: 2006년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22 북한 핵 위기의 본질
23 2007년 2·13 합의조치에 이르는 길
24 2007년 남북정상회담과 10·4평화번영선언
25 한반도 냉전을 넘어
26 이명박 정부 출범과 대북정책
27 한반도 문제, 긴 안목으로 봐야한다
28 오바마의 한반도, MB의 한반도
29 한반도 역사의 전환, 비전 없이 불가능하다
30 2009년 벼랑 끝에 선 남북관계
31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다
32 정상회담의 정치학
33 2009년, 아우성과 상실의 한반도
34 포스트 천안함, 격랑의 한반도
III 21세기 한국 외교의 진단과 과제
35 한반도를 움직이는 두 가지 동력
36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한국 외교
37 2003년 이라크 파병과 추가 파병 논란
38 전환기 한·미동맹
39 미국 세계전략 변화와 한국 외교
40 동북아 균형자론을 위한 변명
41 의도와 비전이 현실을 바꾼다
42 안보외교로 국방의 지평을 넓혀야
43 한국 외교의 협착 구도 타개를 위한 제언
44 고립보다는 개방, 대립보다 협력
45 한·미동맹과 포기 공포의 심리
46 벨기에 생존법을 주목해 보자
47 두려움을 자극하는 상상과 담론
48 한국의 국가 이미지, 무엇이어야 하나
49 MB 정부의 한·미동맹 복원론 비판
50 아프간 재파병 논란
IV 21세기 한국 정치·사회의 자화상
51 시민단체들의 유권자 혁명: 16대 총선과 낙천, 낙선 운동
52 정당과 지역감정
53 '재공천 요망'
54 2002년 대선과 정치적 과제
55 역사를 성찰하는 눈
56 압축성장의 그늘
57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서
58 상실감을 딛고 희망을 건져 올리고 싶다
59 '눈에는 눈' 원칙으로는 모든 사람이 장님 된다
60 선진의 주술로부터 풀려나야 한다
61 세계화 시대를 사는 법
62 경제대통령? 헐~~
63 21세기 지도자 찾기
64 가운데 서기의 지혜
65 김연아의 눈물, 대한민국의 눈물
66 국민들은 현명하고 냉정하다
67 천안함 사건과 인지부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