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방인의 사회학> <부자는 어떻게 가난을 만드는가> 를 통해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사회상과 부조리를 해부하고 분석해온 사회학자 김광기는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진 박근혜 게이트가 가능했던 우리나라, 이러한 ‘특혜국가’의 뿌리를 지대추구 행위, 승자독식, 연고주의에서 찾는다.
목차
다소 긴 서론 | 순실증을 앓는 그대에게
진리에는 편파가 공정
공정함의 전제는 의심과 회의
무의심이 빚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조폭 박근혜·최순실 정부 그리고 조폭재벌
대한민국을 미개사회로 전락시킨 박근혜와 그 부역자들
불공정ㆍ부조리ㆍ불평등: 적폐의 열매
지대추구 행위, 승자독식 그리고 연고주의: 적폐의 씨앗
척폐청산: 가지 않은 길
PART 1 | 지대추구 행위, 승자독식 그리고 연고주의
chapter 01 | 지대추구 행위: 불로소득의 다른 이름
삼성 이재용의 뇌물은 지대추구 행위
지대와 지대추구 행위
지대추구 행위의 3가지 폐해: 월 가의 예
chapter 02 | 지대추구 행위자들의 전략
시장의 불투명성 전략
규제포획 전략
골드만삭스와 김앤장 그리고 박근혜·최순실
chapter 03 | 승자독식
승자독식, 그 잔인한 약탈성
승자독식과 그 폐단
국정농단은 승자독식
탐욕의 시대와 명예의 소멸
chapter 04 | 연고주의
연줄: 성공의 지름길
미국의 현선(顯線) 실세와 한국의 비선(秘線) 실세
박근혜·최순실 부역자들: 부정부패의 연결고리, 연고
PART 2 | 적폐청산
chapter 05 | 재벌개혁
재벌개혁의 필요성
부당한 총수 일가 지배구조
비상장주식을 통한 편법증여
일감 몰아주기
골목상권까지 장악한 절대포식자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중간지주회사 그리고 뇌물
금권정치: 무소불위의 절대권력, 조폭재벌
주주민주주의: 재벌개혁의 필요충분조건인가?
진정한 재벌개혁을 위하여
또 한 번의 기회?: 한시적 책임경영을 위한 선행조건
chapter 06 | 정치개혁
정경유착, 반드시 끊어야만 할 적폐의 고리
양날의 칼, 규제
규제프리존법: 박근혜의 재벌특혜법
한국판 로비스트: 전경련, 대관팀, 관료 출신 사외이사
패거리정치를 청산하라: 정피아와 관피아
박정희 신화와의 이별
정교유착을 불허하라
chapter 07 | 사법부와 검찰개혁
앰뷸런스 체이서와 법비
사법부의 관료제화
씁쓸한 전관예우
유독 도드라진 법조계 연고주의
chapter 08 | 언론과 교육개혁
권력이 되어버린 언론
마투라카주와 심리적 문맹: 공중에서 대중으로
정언유착: 권력의 언론장악
서울대 우상화 유감
교육에서 경쟁을 제하라
교육의 독과점: 신분제사회
선수치기
간판따기
교육부의 시치미
PART 3 | 불평등
chapter 09 | 소득불평등
한국의 소득불평등
1대 99가 아니다
소득불평등 심화
터널효과
노동조합과 중산층
chapter 10 | 부의 불평등
한국의 부의 불평등
부동산 불패신화
부동산: 불로소득과 불평등의 원천
재벌 및 기업들의 땅장사
토건국가의 오명
결론 |대한민국의 정의를 다시 묻는다
적폐청산이 먼저다
우리 안의 적폐
참고문헌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