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선.이광수, 두 괴물의 윤리성을 성찰한다. <아첨의 영웅주의>는 윤리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최남선과 이광수의 사상과 생애를 조망하는 서영채 교수가 삭히고 삭혀내 펴낸 책이다. 최남선과 이광수의 대일 협력의 문제로부터 시작하는 이 책은, 그들이 가장 빛났던 순간에 이르기까지 두 사람의 삶을 거슬러 올라간다.
목차
제1부 계몽의 윤리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 최남선의「자열서」읽기 1. 비윤리의 윤리성 2. 성자-바보돠 현자-속물: 이광수와 최남선 3.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학병 권유의 논리 4. 논리와 이념 사이의 간극: 최남선의 시라토리 5. 역사의 '외밀한' 진리로서의 신화: 불함문화와 만몽문화 6. 속지 않는 자의 분안 민족 없는 민족주의 - 이광수와 유머로서의 대동아공영권 1. 이광수와 칸트 2. 민족 없는 민족주의의 역설: 윤리와 정치 3. 급진화된 칸트로서의 이광수 4. 민족주의의 완성태로서의 민족 배신 5. 유머로서의 대동아공영권 기원의 신화를 향해 가는 길 - 최남선의『백두산근참기』 1. 왜 기행문인가 2. 외부를 통해 조우하게 되는 민족 3. 기원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4. 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화화 5. 단군론의 역설과 민족주의의 윤리 합리성과 숭고 -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 1. 그들은 왜 금상산에 올랐나 2. 금강산 관광의 탄생 3. 관광 경험과 진정성의 형식 4.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 5. 두 개의 자연과 진정성의 변증법 계몽과 포에지 - 최남선의 신체시 읽기 1. 신체시의 문제성 2. 개화기 시가에서의 최남선의 위상 3. 최남선의 문필활동에서의 시가의 위상 4. 격조의식과 그 의미 5. 독백과 도청의 포에지 6. 계몽의 이중성과 두 개의 근대성 7. 최남선의 역설
제2부 『무정』과 한국소설의 근대성 왜 『무정』인가 1. 문제 제기 2. 전제와 시각 『무정』의 서사 구성 원리 1. 삼각관계의 내적 형식과 그 의미 2. 성리학적 세계상과 소설의 문법 3. 『무정』의 서사구조와 근대의 이율배반 『무정』의 이데올로기 1. 두 개의 금욕주의 2. 전통과 근대의 화해: 황주와 삼랑진의 의미 3. 민족계몽주의와 '불행한 의식' 『무정』의 소설미학과 근대성 1. 근대성의 원리로서의 주체성 2. 『무정』의 미학과 소설의 인식지평
맺음말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 '근대주의'의 오독을 넘어 2023 / 지음: 방민호 / 예옥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2003 / 방민호 지음 / 향연
문학의 혁명, 혁명의 문학 = Literary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literature 2021 / 지음: 배하은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