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 강력한 자장을 드리웠던 신경향파 문학의 역사적, 미학적 전개 과정에 대한 연구의 결실이 담긴 책. 신경향파 문학 가운데 시와 비평의 지형을 다룬 글을 수록하였고, 신경향파 소설의 해석을 담았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1910년대 유학생 잡지와 근대소설 제1장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연구 대상 및 목적과 방법 제2장 1910년대 일본유학과 근대적 지식인의 등장 1.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자기규정과 잡지 발간 1) 1910년대 일본유학의 성격과 유학생들의 자의식 2) 유학생 잡지 발간과 유학생 글쓰기의 특징 2. 지식권력과 젠더의 상관관계 1) 남성지식인의 정체성 수립과 여성에 대한 이중의 시선 2) 여성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 수립 과정 제3장 새로운 윤리주체로서의 유학생과 근대적 문학관의 수립 1. ‘정’의 발견과 근대적 문학관의 수용 1) 유학생들의 인정투쟁과 자기 확립 2) ‘정’의 수용을 통해서 본 근대적 문학관의 수립 2. 미적 감수성의 분화와 심미적 개인의 탄생 1) 내면 창출로서의 감정과 근대예술에 대한 열망 2) ‘속사람’의 발견과 근대적 개체들 간의 소통으로서의 애정 제4장 ‘근대소설’의 수용과 근대예술의 실천 1. 계몽의 후퇴와 사실성의 강조 1) ‘사실’ 소설의 등장 2) 자기 삶의 투영으로서 유학생의 자전적 소설 2. 자아탐색의 확대와 현실인식의 심화 1) 자기성찰로서의 고백서사 2) 타자로의 인식확장과 현실인식의 심화 3. 음악잡지의 발간과 근대단편의 이해 1) 음악잡지 『삼광』 등장의 의미 2) 번역물을 통해 본 근대단편의 이해와 새로운 서술방식 제5장 결론
제2부 1920년대 전후 잡지를 통해서 본 매체분화와 근대적 문학관의 전개 제1장 예술(영화)잡지 『녹성』 연구 1. 조선 최초의 예술(영화)잡지의 탄생 2. 『녹성』 발간의 배경 1) ‘경성청년구락부’와 『신청년』, 그리고 『녹성』과의 친연성 2) 『신청년』과 『녹성』 사이의 방정환 3. 영화잡지를 지향한 『녹성』의 매체적 특징 1) 문예와 연예를 결합시킨 대중잡지의 등장 2) 『녹성』에 드러난 영화서사의 소비방식 4. 나오는 말-『녹성』 을 통해 본 잡지의 대중화 전략 제2장 잡지 『서울』 연구-1920년대 개조론의 대세 속 『서울』 창간의 배경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1. 장도빈의 『서울』 발간과 잡지의 변모과정 2. 민족개조사업과 탈식민 사이의 간극과 저항 3. ‘문예부록’을 통해서 본 『서울』의 성격과 근대문예에 대한 의식 4. 1920년대 언론잡지로서 『서울』의 의의 제3장 1920년대 유학생 잡지 『현대』 연구-『기독청년』에서 『현대』로 재발간되는 과정과 매체 성격의 변모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글-학우회와 동경기독교 청년회그리고 이들 기관지 사이의 친연성 2. 종합사상지를 지향한 『현대』의 매체적 특징 1) 객관으로서 국제정세 소개하기 2) 조선사회의 당면과제와 ‘문화운동’의 필요성 3. 기독교청년회 기관지로서의 『현대』 특징 1) 종교평론을 통해서 본 기독교잡지로서의 면모 2) ‘조선기독청년회’기관지로서 『현대』 읽기 4. 유학생 잡지로서 『현대』가 갖는 의의 제4장 문예지 『생장』 연구-일인 잡지로서의 한계와 성과를 중심으로 1. 김형원과 『생장』 발간의 배경 2. 『생장』 속에 드러난 문예관의 특질 3. 『생장』 구성상의 특징과 일인 잡지로서 갖는 한계점 4. 문예지 『생장』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 5. 『생장』 연구의 의미
참고문헌 간행사
서가브라우징
문학의 혁명, 혁명의 문학 = Literary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literature 2021 / 지음: 배하은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