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Ⅰ 서설
스토리의 시대, 스토리를 Re-스토리텔링하기 -신화는 귀환하고 있는가? / 정재서(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Ⅱ 고전으로 현대문학을 읽다
이시영, Ezra Pound, 흥(興) / 김의정(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학부 연구교수)
내 안의 '불안'과 만나다 -윤대녕 소설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 김지선(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농담의 미학, 그 한없이 가벼운 인생을 듣는 즐거움 -성석제의 소설「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와 「조동관 약전」 / 송진영(수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물(異物)기록의 정치학: 지괴(志怪)의 독법과 김탁환의 『부여현감귀신체포기』 / 최진아(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Ⅲ 고전으로 대중문화를 읽다
성룡의 코믹쿵푸, 몸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 / 김영미(이화여자대학교 중국문화연구소 연구원)
영화 <전우치>의 문화사회학적 공간 읽기 / 정선경(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
현대 중국의 대중문화와 옛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무협 블록버스터 영화 <연인(2004)>, <무극(2005)>, <야연(2006)>과 경성경국(傾城傾國)의 고사성어(故事成語)를 중심으로 / 문현선(건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21세기 낭만 도깨비, 영상 서사에 녹아들다 -김은숙의<도깨비>, 그리고 포송령의 「화피(畵皮)」 / 이연희(서울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초빙강의교수)
디지털 시대 『서유기』의 교육적 변용 -『마법천자문』을 중심으로 / 정민경(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Ⅳ 고전을 보는 새로운 시각들
『서유기』에 나타난 식인(食人) / 송정화(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
팔고문(八股文), 그 게임의 법칙 -현행 한국의 대입 논술 시험의 진단과 대안을 위하여 / 박영희(숭실사이버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중국의<팔선과해도(八仙過海圖)>와 비교하여 본 조선 후기 안중식(安中植)ㆍ조석진(趙錫晉)의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 / 장현주(이화여자대학교 루체테사업단 특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