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중국 고대사 간략 연표
제1장 철학 일반의 문제
1.1 문명, 철학
1.2 철학적 정신이란?
1) 의미를 물음
2) 시류를 따르지 않음
3) 비판적 정신
4) 이론사유의 추구
1.3 철학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1) 종교와 과학
2) 언어
3) 세 가지 영역
제2장 중국철학의 정신과 배경
2.1 중국철학의 정신
1) 종교적 경향이 강함
2) 윤리적·정치적 성향이 짙음
3) 현세적임
2.2 중국철학의 배경
1) 풍토
2) 농업 사회 및 가족 제도
제3장 콩치우 이전
3.1 문자의 탄생 - 갑골문 이야기
3.2 상(商) 왕조의 종교 관념
1) 무(巫)
2) 제사
3.3 서주 시대의 사상
1) 천명
2) 덕(德)의 관념
제4장 『주역』 이야기
4.1 『주역』이란 어떤 책인가?
4.2 이항 대립(二項對立)의 구조
4.3 『주역』의 철학화
※ 인터메쪼 1: 마왕뚜이 백서(帛書) 『주역』
제5장 유가의 형성
5.1 제자백가
5.2 콩치우의 생애와 사상
1) 생애
2) 철학·종교
3) 윤리·정치
5.3 콩치우의 행복론
제6장 유가의 발전
6.1 멍커의 철학 사상
1) 성선설
2) 왕도와 패도
6.2 멍커의 호연지기(浩然之氣)
6.3 쉰쿠앙의 철학 사상
1) 천도의 불변성
2) 성악설
3) 동물은 예(禮)가 없다
※ 인터메쪼 2: 꾸어띠앤 죽간 『성자명출性自命出』의 사상 맥락
제7장 도가의 형성
7.1 라오딴의 철학 사상
7.2 상반됨이 ‘도’의 움직임이다
7.3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 과도한 욕망의 절제
2) 부드러움의 가치
3) 실속 있는 처신
7.4 라오딴의 정치적 관심
제8장 도가의 발전
8.1 『태일생수太一生水』의 사상
1) ‘태일’이 물을 낳는다
2) 『태일생수』의 중요 개념
8.2 주앙저우의 철학 사상
1) 자유를 찾는 길
2) 기준의 문제
3) 나비 꿈
※ 인터메쪼 3: 상하이박물관 죽간 『항선恒先』
제9장 묵가의 철학
9.1 모짜이의 종교 관념
9.2 겸애설
1) 겸애주의
2) 차별주의
9.3 공리주의(功利主義)
1) 정치
2) 경제
9.4 유가에 대한 비판
※ 인터메쪼 4: 상하이박물관 죽간 『귀신지명鬼神之明』
제10장 명가의 철학
10.1 이론사유와 실천사유
10.2 후이스와 변자들의 말놀이
10.3 꽁쑨롱의 논리
1) 흰 말은 말이 아니다
2) 굳음과 흼은 분리된다
3) 보편은 개체보다 앞서 존재한다
제11장 법가의 형성
11.1 구안종의 초기 법가 사상
11.2 상양의 철학 사상
1) 철학사적 위치
2) 세계관
11.3 선따오와 선뿌하이의 사상
1) 선따오의 세(勢)
2) 선뿌하이의 술(術)
제12장 법가의 발전과 쇠퇴
12.1 황로학의 유행과 발전
1) 황로학이란 무엇인가?
2) 유행과 발전
12.2 한페이의 철학 사상
1) 도(道)와 덕(德)
2) 법치 사상
12.3 법가의 실천적 국면 - 진시황의 고대 중국 통일
12.4 진(秦) 제국의 멸망과 고대 철학의 종말
[부록 1] 5분간의 중국고대철학
[부록 2]
1. 한어 표기법 이야기
2. 새롭게 나타난 문헌
3. 인명 및 지명 한어 발음 표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