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하류지향>의 우치다 타츠루의 ‘거리의 교육론. 그는 교육의 시장화가 어떻게 배움과 가르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지,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을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통찰한다.
목차
펴낸이의 말 l 낯선 교육론을 만나기 전에 들어가는 말 l 선생님들이 용기와 힘을 얻기를
1 교육을 바꾸려 할 때 먼저 생각해야 할 것들 교육은 타성이 강한 제도다 교육의 근본적인 개혁은 불가능하다 교육개혁의 주체는 바로 우리들이다 교사를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워야 한다
2 교육은 비즈니스가 아니다 교육이 비즈니스가 아닌 이유 시간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시장 변화를 바라지 않는 사람들 교육의 이해당사자는 누구인가 부모로부터 아이를 보호하는 제도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교사와 아이들
3 나를 넘어서는 배움 통신판매 모델로서의 유비쿼터스 교육 배움은 쇼핑이 아니다 교육에서 캠퍼스 공간이 지니는 의미 이상적인 캠퍼스 공간 배움이란 ‘이륙’한다는 것
4 교육의 세계화와 시장화의 위험 교육의 상품화는 교육의 자살이다 교육의 시장화 짝퉁 대학 가려내기 학위 공장의 성공 학교 평가와 교원 평가로 잃어버린 것
5 소통을 위한 교육 공자의 6예藝와 서양의 자유 7교과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차이 자신을 포함한 풍경을 조감하는 힘 역사의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학문 다른 전문가와 협력할 줄 아는 능력 경쟁을 강화해도 학력이 오르지 않는 까닭
6 갈등하게 만드는 사람으로서의 교사 교사는 언제나 반反권력 배움의 문을 여는 마법의 주문 어쩔 수 없이 교사가 된 사람일지라도 갈등 속에서 성숙하는 인간 친족의 기본구조와 교육제도 다양한 유형의 교사가 필요한 까닭
7 춤춰라, 계속 춤춰라 배움을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을까 “나는 이렇게 들었다”라는 어법의 힘 ‘기원’이라는 신화 ‘스승의 스승’이 하는 역할 고전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가 계속 춤을 추는 거야!
8 이지메에 대한 다른 이해 학생들을 이해할 수 없다는 교사들 “이 문제는 간단하다”고 말하는 사람들 상황에 대한 낙관과 자신에 대한 비관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 학교와 사회 사이에 벽이 필요한 까닭 개성을 추구하는 아이들이 빠지는 함정 이지메의 집단 역학 글로벌 자본주의에 맞서는 방파제
9 진로교육이 빠진 함정 수험 활동과 취업 활동의 차이 면접에서 합격과 불합격의 기준 노동의 장은 협력의 장 능력이 뛰어날수록 이직률이 높은 까닭 분업화와 개인화 회색지대 업무의 중요성 가난을 벗어나면서 잃어버린 것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길 위의 함정
10 언어교육에서 놓쳐서는 안 되는 것 현대문에서 사라진 음악성 언어의 남성성과 여성성 록과 일본어 가사의 만남 말을 먼저 배운다는 것의 의미 생각과 말의 괴리
11 영성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은 갈등과 긴장 풍수와 종교성 모순의 동적 균형 장례, 죽은 자와 소통하기 종교적인 것들이 범람하는 시대에 영적 스승과의 만남 영적 성숙을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