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적 시각으로 본 예술의 의미. <종의 기원>의 학문적 방법론을 차용하여 인간 진화의 관점에서 문학과 예술을 재평가한다. 기존의 예술 기원론을 비판하면서, 예술은 진화에 의해 끊임없이 설계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목차
옮긴이의 말 문명과 문화의 진화론 들어가며 진화론이 예술마저 설명할 수 있을까?
제1편 진화론으로 읽는 인간과 예술 1부 진화와 자연 1. 인간 본성은 있는가? 2. 살아남으려면 적응하라 3. 지능은 왜 진화하는가? 4. 집단에서 살아남기 2부 진화와 예술 5. 예술의 생물학적 뿌리 6. 생존을 위한 인지 놀이 7. 선택적 관심에 의한 예술 8. 창조성을 창조하도록 진화하다 3부 진화와 픽션 9. 왜 우리는 허구에 매료될까? 10. 사건의 이해와 재구성 11. 이야기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12. 픽션을 향한 인간의 본능 13. 놀이와 예술을 통해 진화하다
제2편 호메로스에서 닥터 수스까지, 이야기의 기원들 4부 이야기의 역사적 기원, 《오디세이아》 14. 관심 끌기 (1) 자연스러운 유형-인물과 플롯 15. 관심 끌기 (2) 개방적 유형-구성의 역설 16. 지능의 진화 (1) 지금 여기 17. 지능의 진화 (2) 지금 여기를 넘어 18. 협력의 진화 (1) 경계의 확장 19. 협력의 진화 (2) 무임승차에 대한 징벌 5부 이야기의 개별적 기원, 《호턴이 듣고 있어!》 20. 문제와 해법의 진화론 21. 설명의 수준-보편, 지역, 개인 22. 설명의 수준-다시 개성으로 23. 설명의 수준-구체성 24. 작가의 의도를 넘어선 의미
맺음말 돌이켜보기와 내다보기-왜 진화비평인가? 발문 진화비평, 문학비평의 지평을 넓히다 주
서가브라우징
(고미숙의)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 Road classic2015 / 지음: 고미숙 / 북드라망
나는 오늘도 하드보일드를 읽는다2015 / 김봉석 지음 / 예담
철학자 김진영의 전복적 소설 읽기 : 여덟 가지 키워드로 고전을 읽다2019 / 지음: 김진영 / 메멘토
세계문학여행 : 소설로 읽는 세계사2015 / 김한식 지음 / 실천문학사
만약 당신이 내게 소설을 묻는다면 = If you ask me what a novel is2014 / 지음: 장성수...[외] / 소라주
명작을 읽는 기술: 문학의 줄기를 잡다2021 / 지음: 박경서 / 열린책들
서브텍스트 읽기 : 이야기는 어디에 있는가2016 / 지음: 찰스 백스터 ; 옮김: 김영지 / xbooks
이야기의 기원 : 인간은 왜 스토리텔링에 탐닉하는가2013 / 브라이언 보이드 지음 ; 남경태 옮김 / 휴머니스트
장 발장은 혁명군이었다? : 문학 작품 속 세계사 읽어 보기!2015 / 송영심 지음 / 팜파스
위험한 책읽기2019 / 지음: 로버트 P. 왁슬러 ; 옮김: 김민영, 노동욱, 양지하 / 문학사상
내가 사랑한 첫 문장 : 오랫동안 잊히지 않는 세계문학의 명장면2015 / 윤성근 지음 / my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2018 / 지음: 정영목 / 문학동네
소설이란 무엇인가2017 / 지음: 조정래, 나병철 / 평민사
작가란 무엇인가 : 소설가들의 소설가를 인터뷰하다2014 / 지음: 파리 리뷰 ; 옮김: 권승혁, 김진아 [공] / 다른
작가란 무엇인가 : 소설가들의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32015 / 파리 리뷰 지음 ; 김율희 옮김 /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