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교과서 한국사 시리즈 3권. 궁예를 몰아내고 후고구려의 임금이 된 왕건이 외세의 도움 없이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해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극대화되면서 무신들의 정변이 일어나기 직전까지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태조 왕건의 고려 건국, 귀족 그리고 불교
1. 후삼국 통일과 고려 건국, 그리고 통치 체제 확립 1 왕건의 후삼국 통일과 고려의 성립 송악 호족 출신 왕건의 고려 건국 지방 호족과 백성들의 마음을 얻어라 왕권을 강화해 나라를 안정시킨 광종 2 중앙 집권 통치 체제를 확립한 고려 고려의 통치 이념으로 채택된 유교 지방 행정 조직을 5도·양계·경기로 개편 이자겸·묘청의 난과 고려의 귀족 사회
2. 고려 전기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대외 관계 3 고려시대 백성들의 일상생활 오직 귀족을 위한 나라였던 초기 고려 백정이라고 불렸던 고려 시대의 농민들 4 고려시대 전기의 종교와 문화 불교를 사랑했던 불교의 나라, 고려 불교 통합을 꿈꾸었던 왕자, 대각국사 의천 고려의 귀족 문화와 유교에 기반을 둔 정치 5 고려 전기의 외교 관계와 대외 교역 서희의 외교로 되찾은 땅, 강동 6주 거란의 거듭된 침입과 금나라의 성장 세계 각국과 연결되었던 무역항, 벽란도
서가브라우징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 5 , 조선시대 12017 / 글: 문원림 ; 그림: 김규준 / 동아엠앤비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 5 , 조선시대 12017 / 글: 문원림 ; 그림: 김규준 / 동아엠앤비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 6 , 조선시대 22017 / 글: 문원림 ; 그림: 김규준 / 동아엠앤비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 6 , 조선시대 22017 / 글: 문원림 ; 그림: 김규준 / 동아엠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