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의 말
[프롤로그] 현대 미국 무용의 흐름
현대무용 계열: 20세기 무용조류의 주도권 획득과 그 후
발레 계열: 세계적인 발레 강국으로의 급부상
01 치열한 가을 시즌, 트리샤 브라운 무용단에서 살아남기
02 미국의 자랑! 아메리칸발레시어터ABT - 그리고 서희
03 관객을 위한, 관객에 의한 춤 예술 - 조이스시어터와 뉴욕시티센터
04 이태리 발레리나들의 500년의 비상飛上
05 다운타운의 배고픈 무용가들
06 급진적인 작품은 BAM에서 본다
07 ‘중간 레벨’의 극장 - DTW
08 춤 현장에서 나이를 먹어가는 것 - 존 재스퍼스의 <베키, 조디, 존>
09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 카를로스 사우라의 플라멩코 영화들
10 공연예술이 살아 숨 쉬는 도서관 - 뉴욕 공연예술 공공도서관 중 무용부문을 중심으로
11 모던댄스의 한 유산을 기리며, 호세 리몽 무용단
12 댄스 온 카메라Dance on Camera
13 SOLD OUT!
14 밤하늘을 찬란하게 빛내는 별들처럼 - 21세기 세계 발레스타 갈라
15 미국의 예술적 자긍심을 높이는 발레단 - ABT의 MET시즌 공연 중에서
16 꿈을 좇는, 그리고 그 꿈을 이루고 있는 무용가 - 김영순
17 뉴욕의 세계적인 자랑거리, 링컨센터 - 그곳에서 펼쳐진 세 가지 춤 공연
18 우리 창작무용의 뉴욕 입성을 위해서 - APAP 2007의 한국 무용 쇼케이스
19 우리 문화예술을 알리는 문門 - 뉴욕한국문화원과 우진영 원장
20 몸의 극한을 넘어선 가능성 찾기 - 컴플렉션즈 컨템포러리발레 그리고 주재만
21 세기를 넘어선 무용가들의 저력 - 뉴욕시티센터와 조이스시어터의 공연 중에서
22 무용수의 국제적 도약을 향한 작은 발판 - 크노아KNUA 무용단의 뉴욕 공연
23 마르지 않은 창조의 샘처럼 - 존 뉴마이어와 윌리엄 포사이드
24 북적거림 속에서도 본연의 빛을 잃지 않는 무용가들 - APAP 무용 쇼케이스 중에서
[에필로그] 특별좌담
뉴욕에서 살아남았던 한국 무용가들 - 제임스 전, 안성수, 국은미, 정형일, 조주환, 정현진, 성창용, 한성우
1. 뉴욕 소재의 대학과 스튜디오
2. 뉴욕의 무용 현장에서 자리 잡기
3. 뉴욕의 선진적인 시스템 훑어보기
4. 뉴욕에서 한국 무용가로서 부닥치는 문제
부록 - 뉴욕의 무용 명소
선행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