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역자 머리말
감수의 글
1장 개요: 좋은 현장을 일본에 남기자
1. 왜 지금 현장 중심의 발상이 필요한가
2. 일본의 현장력을 활용한 부흥을
3. ‘全 산업공동화론’의 위험
4. 공급사슬 복구의 처방전-버추얼 듀얼화
5. 현장 중시의 기업전략·국가전략을
2장 현장의 이론 - 모노즈쿠리 경영학의 확대
1. 광의의 모노즈쿠리론
2. 조직능력론
3. 아키텍처론
4. 경쟁력론
5. 리카르도 비교우위론의 미시적 해석
6. 설계의 비교우위론
7. 다국적기업과 리카르도 모델 - 고생산성 현장을 남기는 것의 의미
8. 산업정책에의 의의 - 능력 구축의 촉진지원을
3장 모노즈쿠리 현장의 허상과 실상
1. 모노즈쿠리 비관론에 대한 답변
2. 역경에서도 끈질긴 일본의 모노즈쿠리 현장
3. 현장이 지탱하는 대지진 후의 일본 경제 - 일방적 비관론에서의 탈피를
4. 산업분석에 ‘흔들림 없는 이론’을 갖추자
4장 서플라이체인의 위기와 복구
1. 대재해에 의한 서플라이체인 단절과 그 대책
2. 서플라이체인의 ‘약한 연결고리’가 드러남
3. 서플라이체인 취약성, 강건성의 분석방법
4. 제안되고 있는 몇 가지 사후 대응책과 그 문제점
5.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강건성의 향상을 - 먼저 ‘버추얼 듀얼화’에서
5장 원자력 발전 사고 후의 전력 공급 - 모노즈쿠리 시점에서
1. 전력 문제의 복잡성
2. 전후 일본의 전력산업 - 주된 사건과 귀결
3.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 사고 후의 백가쟁명
4 모노즈쿠리 시점의 전력산업 경쟁력론
5. 전력 품질과 제조업의 장래
6. 전력설비산업의 경쟁력 분석
6장 현장에서 보는 국가전략
1. ‘좋은 현장’을 남긴다는 국가비전
2. 지진 재해 복구기에 있어서의 본부·현장의 조직설계
3. 지역과 중소기업에 ‘좋은 설계의 좋은 흐름’을
4. ‘좋은 현장’, ‘좋은 본사’를 살리는 법인세제
5. 현장이 지지하는 지구온난화 대책을
6. 농업 현장에도 ‘좋은 흐름’을
7장 풀뿌리 이노베이션과 인스트럭터
1. 풀뿌리 이노베이션론
2.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울타리를 넘어
3. 지역에 ‘모노즈쿠리 인스트럭터 양성 스쿨’을
8장 일본에 좋은 설계ㆍ좋은 흐름ㆍ좋은 현장을
1. 본사여 각성하라, 현장이여 연대하라
2. 현장주의 선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