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정’과 ‘인정투쟁’은 우리 시대의 주요 화두가 되었다. 한국 사회에서도 소외받는 소수자, 노동자, 갑을 관계 등 인정의 구조가 얽힌 문제는 무수히 많다. 문성훈 교수는 오랫동안 인정이론과 현대사회의 인정관계에 관해 연구해왔다.
목차
서론 왜 인정인가?
1부 인정 패러다임
1장 인간의 삶과 사회에 대한 인정이론적 이해
1. 인간의 삶과 인정
2. 사회에 대한 인정이론적 이해
2장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
1. 자아실현의 사회적 조건
2. 인정이론과 사회 발전
3장 인정투쟁과 진보적 사회 변혁
1. 인정투쟁의 구조
2. 투쟁의 유형들
3. 인정투쟁과 사회 구조
2부 현대사회 변동과 인정관계 구조변화
4장 친밀성 영역의 구조변화 - 역할분담자에서 대체 불가능한 존재로
1. 근대 가족의 등장과 실상
2. 부부관계의 구조변화
3. 역할분담에서 사랑의 관계로
5장 정치적 의사결정 영역의 구조변화 - 유권자에서 주권자로
1. 오늘날 민주주의의 상황
2. 민주주의의 종말인가? 지속적 민주화인가?
3. 지속적 민주화의 방향
6장 경제적 생산 영역의 구조변화 - 생산주체에서 사회적 활동주체로
1. 유연성 인간과 사회 병리현상
2. 오늘날의 자본주의
3. 자본주의적 인정관계의 구조변화
7장 문화적 생활 영역의 구조변화 - 동질적 존재에서 차이의 주체로
1. 타자 형성의 사회적 메커니즘
2. 타자들의 실상과 인정 요구
3. 동질적 존재에서 차이의 주체로
8장 세계질서 영역의 구조변화 - 국적적 존재에서 세계시민으로
1. 세계화와 탈국민국가적 현상들
2. 세계화에 대한 저항과 세계시민권
3. 국적적 존재에서 세계시민으로
결론 사회철학의 정신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