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농악의 지역성과 세계성 : 정읍농악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 2015 / 지은이: 김헌선, 이용식, 허용호, 서정매, 김익두, 조정현 / 민속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참고/연속간행물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62232
-
ISBN
9788928508488
-
형태
152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한국음악 및 동양전통음악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음악
>
국악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정읍농악.풍물굿은 우리나라 농악.풍물굿 중에서 근대화를 가장 먼저 시작했고, 이후 우리나라 전국 방방곡곡의 농악.풍물굿으로 퍼져나갔다. 정읍농악.풍물굿의 판제나 가락은 전국의 농악.풍물굿의 예술적 수준을 드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우도굿의 전통과 혁신-정읍농악을 예증삼아- / 김헌선
1. 초앞 비두
2. 정읍농악의 실제적 면모
3. 정읍농악, 다시 보기
4. 매도지
한국음악에서의 정읍농악의 가치와 위상 / 이용식
1. 머리말
2. 정읍농악의 변형태 가락
3. 정읍농악의 불균등리듬
4. 정읍농악의 개인놀이
5. 맺음말
정읍농악의 잡색 연행 연구를 위한 제언 / 허용호
1. 머리말:정읍농악 잡색 연행 연구의 현황
2. 잡색 연행 자료의 정전화와 권위 회복의 시도
3. 또 하나의 잡색 연행 자료 제시와 논의 지평의 확대
4. 맺음말:정읍농악 잡색 연행 연구를 위한 제언
정읍 우도농악의 ‘오채질굿’에 관한 연구 / 서정매
1. 머리말
2. 정읍 우도농악의 역사 및 전승 현황
3. 음반 및 연희자에 따른 ‘오채질굿’ 가락의 분석
4. 정읍지역 농악단의 ‘오채질굿’ 가락의 전승현황
5. 맺음말
‘농악/풍물굿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몇 가지 제언-‘정읍농악’과 관련하여- / 김익두
1. 머리말
2. ‘농악/풍물굿 테마파크’ 사업의 필요성
3. ‘농악/풍물굿 테마파크’ 사업 추진의 지역적 타당성
4. ‘농악/풍물굿 테마파크’ 사업 내용
5. 기대효과
6. 맺음말
한국 농악의 ‘세계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풍물굿·사물놀이·농악무를 예증삼아- / 조정현
1.머리말
2. 농악의 역사로서 풍물굿 담론과 현재적 전승
3. 시대와 정서의 변화를 반영하는 농악문화
4. 세계적 생활예술로서 가치와 가능성
5. 맺음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