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역자의 말
서론: 역사 속의 신유학
제1장 11세기의 신세계: 750년도와 1050년도의 비교
1. 대외관계
2. 남과 북
3. 상업과 도시화
4. 사회적 변화
제2장 새로운 기초를 찾아서: 11세기
1. 사들의 생각, 그리고 과거시험
과거시험에서의 경전
과거시험공부와 문학
고문, 그리고 과거시험공부에 대한 공격
2. 당나라 고대모델의 해체
당나라모델: 천지, 고대, 제국
당모델에 대한 도전
공동기반의 표지들
‘학’그리고 새로운 자아 관념
3. 신법: 체계의 법제화
제3장 신유학자들
1. 신유학자들과 유학자들
2. 내부적 역사를 외부적으로 읽기
원대 남북부의 신유학
명대의 신유학과 제국
철학으로서의 신유학, 문화로서의 신유학
3. 접근 방법과 질문
부록
제4장 정치
1. 전제의 문제
2. 제국의 수사학
통치자와 신하에 대한 전기제국모델
북송시기 황권에 대한 도전
3. 신유학과 정치
황제의 도덕적 권위 주장에 대한 도전
신유학적 통치자
4. 신유학의 사명과 ‘사’
붕당과 동지적 공동체
정치로서의 학
사회질서의 비전
5. 후기제국국가와 신유학: 명대 초기의 중요성
제5장 학
1.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신유학적 학
2. 천지, 문명, 그리고 인간의 조건
리와 기로서의 ‘천지’
고대와 성인
인간의 조건
3. 해결책으로서의 ‘학’, 문제로서의 ‘학’
어떻게 배워야 할지를 배우기, 그리고 위기지학
4. 명대에 일어난 강학의 부흥
제6장 믿음
1. 판단과 동기의 문제
2. 믿음으로서의 통일성
우주의 통일성
고대에서 사회의 통일성
학설의 통일성
마음의 통일성
제7장 사회
1. 송원시기 사들의 학을 위해 선택지를 제공하다
새로운 커리큘럼
서원
2. 송원시기 가족에 대한 대안
3. ‘사’의 자발주의, 그리고 송원시대의 공동체
4. 자발주의에서 입법으로: 명나라의 건국
5. 대규모의 중흥과 자발주의의 복귀
결론: 중국의 역사와 신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