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청년들은 "새 세대"인가? : 김정은 정권과 청년 세대의 다중적 정체성
발행연도 - 2015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 / 경남대학교 출판부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11945
-
ISBN
9788984213784
-
형태
263 p. 22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북한/통일론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장 북한 청년층과 세대 문제: 쟁점과 본 연구의 설계 / 김성경
Ⅰ. 들어가며
Ⅱ. 청년과 세대
1. 세대 개념의 불명확성
2. 세대 연구의 방법론적 전략
3. 세대로서 북한 청년 연구를 위한 전략
Ⅲ.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 북한 청년 세대 형성의 사회-역사적 배경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제2장 북한 청년층과 정치적 세대 구성 문제 / 최봉대
Ⅰ. 청년층과 정치적 세대 구성 문제
1. 세대와 코호트의 관계
2. 정치적 정체성의 구성요소들
Ⅱ. ‘정치적 자기범주화’와 정치의식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유동서와 다중성
2. 중장년층의 비교: 정치의식의 ‘불균형적 분화’의 유사성
Ⅲ. 정치적 실천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이중적 구성 경향
2. 중장년층의 비교: 탈국가적 개인중심성의 상대적 우세
Ⅳ. 정치적 아비투스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과도기적 특성
2. 중장년층의 비교: 체화된 규율 효과의 유사성
Ⅴ. 맺음말
제3장 시자장화 속의 북한 새 세대의 지향과 전망 / 노귀남
Ⅰ. 머리말
Ⅱ. 조직생활문화와 시장화문화의 경계
1. 기성세대의 시장적 문화충격
2. 배급과 대가(代價) 사이
Ⅲ. 시장에서 새 세대의 지향
1. 시장과 새 세대의 성장
2. 새 세대의 감각
3. 새 세대의 시장적 욕망
Ⅳ. 맺음말
제4장 북한 ‘사이(in-between)세대’의 혼종적 정체성 / 김성경
Ⅰ. 들어가며
Ⅱ. 북한의 청년, ‘새 세대’
Ⅲ. 혁명 4세대와 세대적 ‘마음’
1. ‘생존’으로 구축된 세대적 마음
2. 임수경이라는 문화적 충격
Ⅳ. ‘사이(in-between)세대’의 ‘마음’
1. ‘사이(in-between)세대’의 양자적 위치와 삶의 전략
2. ‘사이(in-between)세대’의 문화적 실천과 의미
Ⅴ. 맺음말
제5장 북한 새 세대의 젠더 정체성과 실천 / 오유석
Ⅰ. 문제제기: 시장화와 젠더의 재구성
Ⅱ. 사랑, 결혼 그리고 출산
Ⅲ. 성별분업의식: 가사노동, 자녀양육, 생계부양
Ⅳ. 성(sex), 섹슈얼리티(sexuality)의 변화: 성지식, 성경험, 성매매
Ⅴ. 여성의 지위변화
Ⅵ. 맺음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