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문학을 사랑하는, 이제 사랑하게 될 여러분에게
추천하는 글│세계문학은 삶의 자산이자 지혜입니다
등장인물 소개│이 책에서 수업하는 문학가들
|1강| 소포클레스 선생님, 《오이디푸스 왕》의 비극은 숙명인가요? _소포클레스가 대답해주는 ‘그리스 비극’ 이야기
우리는 그리스 비극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꼭 알아야 할 ‘그리스 3대 비극 작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으로 ‘운명’을 이야기하다
비극적 운명에 맞선 인간
|2강| 호메로스 선생님, 《오디세이아》의 비장미는 어디서 비롯되나요? _호메로스가 대답해주는 ‘영웅 서사시’ 이야기
고대 그리스의 영웅은 어떤 존재일까?
《일리아스》의 영웅, 아킬레우스 vs 헥토르
호메로스, 장대한 모험을 《오디세이아》에 풀다
영웅 서사시의 걸작,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3강 | 단테 선생님, 《신곡》은 인간의 여정에 어떤 빛을 밝혀주나요? _단테가 대답해주는 ‘진선미’ 이야기
단테는 왜 《신곡》을 썼을까?
‘진선미’라는 영원한 주제를 다룬 《신곡》
단테, 《신곡》에서 인간의 이상을 향한 여정을 그리다
《신곡》 속에 빛나는 시인의 지혜와 이상
|4강| 보카치오 선생님, 《데카메론》은 금욕주의를 어떻게 풍자하나요? _ 보카치오가 대답해주는 ‘인간의 욕망’ 이야기
보카치오는 어떻게 르네상스의 선구자가 됐을까?
보카치오 작품 속 인문주의
보카치오, 사실주의 거작 《데카메론》으로 시대를 풍자하다
보카치오가 꿈꾼 사랑과 행복
|5강| 세르반테스 선생님, 《돈키호테》에 사람들은 왜 열광할까요? _세르반테스가 대답해주는 ‘숭고한 이상’ 이야기
돈키호테는 왜 살아 있는 인물처럼 느껴질까?
《돈키호테》, 미치광이 기사의 황당한 모험담
세르반테스, 《돈키호테》의 숭고한 이상을 말하다
《돈키호테》의 ‘불후의 매력’
|6강| 셰익스피어 선생님, 《햄릿》은 왜 사느냐 죽느냐로 고뇌하나요? _셰익스피어가 대답해주는 ‘인성의 각성’ 이야기
세계적 대문호, 셰익스피어는 누구일까?
문단을 뒤흔든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셰익스피어, 《햄릿》을 통해 인간의 절망을 고뇌하다
‘사느냐 죽느냐’라는 번민
|7강| 몰리에르 선생님, 《타르튀프》는 왜 위선적 인간이 되나요? _몰리에르가 대답해주는 ‘위선’ 이야기
몰리에르는 왜 17세기를 대표하는 극작가일까?
《웃음거리 재녀들》에서 《동 쥐앙》까지
몰리에르, 《타르튀프》를 통해 위선을 폭로하다
《타르튀프》와 금욕주의의 희생양
|8강| 루소 선생님, 《신 엘로이즈》가 선택한 사랑은 무엇인가요? _루소가 대답해주는 ‘자연스러운 사랑’ 이야기
루소는 왜 ‘고독한 산책자’로 불릴까?
《신 엘로이즈》, 루소의 대표 연애소설
루소, 《신 엘로이즈》를 통해 사랑을 사색하다
자연스러운 사랑, 도덕적인 사랑, 현대의 사랑
|9강| 괴테 선생님, 《파우스트》는 왜 악마와 내기를 하나요? _괴테가 대답해주는 ‘끝없는 탐욕’ 이야기
괴테는 어떤 시의 길을 걸었을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불러일으킨 공명
괴테, 《파우스트》를 통해 ‘왜 사는가’를 묻다
《파우스트》처럼 끊임없이 탐구하라
|10강| 바이런 선생님, 《돈 주안》이 보여주는 시대정신은 무엇인가요? _바이런이 대답해주는 ‘개인적 반항’ 이야기
바이런은 왜 자유를 노래하는 시인이 되었을까?
서정과 방랑의 《차일드 해럴드의 편력》
바이런, 《돈 주안》에 시대의 영웅을 묘사하다
《돈 주안》의 시대정신
|11강| 위고 선생님, 《레 미제라블》의 세상은 무엇으로 구원되나요? _위고가 대답해주는 ‘자비와 구원’ 이야기
위고로 대표되는 낭만주의란 무엇일까?
아름다움과 추함의 대조, 《노트르담 드 파리》
위고, 《레 미제라블》로 세상을 구원하는 ‘자비’를 말하다
위고의 인도주의
|12강| 발자크 선생님, 《고리오 영감》은 자본주의를 어떻게 고발하나요? _발자크가 대답해주는 ‘돈의 죄’ 이야기
발자크가 말하는 사실주의란 무엇일까?
프랑스 사회의 백과사전, 《인간희극》
발자크, 《고리오 영감》을 통해 ‘돈의 죄악’을 꾸짖다
각인각색의 인물을 통해 본 배금주의
|13강| 톨스토이 선생님, 《안나 카레니나》의 심리는 어떻게 변화되나요? _톨스토이가 대답해주는 ‘영혼 변증법’ 이야기
톨스토이는 왜 문학을 시작했을까?
러시아의 대서사, 《전쟁과 평화》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로 시대와 충돌한 개인을 고찰하다
톨스토이의 영혼 변증법
|14강| 헤밍웨이 선생님, 《노인과 바다》의 사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_헤밍웨이가 대답해주는 ‘방황과 투쟁’ 이야기
헤밍웨이가 묘사한 ‘길 잃은 세대’는 누구일까?
《노인과 바다》, 불굴의 인간다운 투쟁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를 통해 인간의 저항정신을 보여주다
헤밍웨이의 ‘빙산 이론’
|15강| 카프카 선생님, 《변신》 속 현대인의 진짜 모습은 무엇인가요? _카프카가 대답해주는 ‘황당한 세계’ 이야기
카프카는 《심판》으로 어떤 성장 과정을 보여줬을까?
《성》을 통해 본 카프카의 비애
카프카, 《변신》을 통해 세상의 황당함을 드러내다
카프카가 남긴 ‘인생을 위한 고민’
|16강| 마르케스 선생님, 《백 년 동안의 고독》에 마술적 사실주의가 있나요? _마르케스가 대답해주는 ‘환상과 현실’ 이야기
마르케스는 어떤 작가일까?
6대의 흥망성쇠를 다룬 《백 년 동안의 고독》
마르케스, 《백 년 동안의 고독》이 그린 순환을 해석하다
마르케스의 ‘마술적 사실주의’
|17강| 나쓰메 선생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어떤 현실을 그리나요? _나쓰메가 대답해주는 ‘풍자와 비판’ 이야기
나쓰메는 어떻게 동서양 문학의 특징을 결합했을까?
나쓰메의 ‘F+f의 문학 공식’
나쓰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로 인간의 민낯을 보여주다
비판의 깊이와 독특한 스타일
|18강| 타고르 선생님, 《기탄잘리》의 사랑은 어떻게 완성되나요? _타고르가 대답해주는 ‘평화와 박애’ 이야기
타고르의 범신론은 무엇일까?
《기탄잘리》, 신에게 바치는 시
타고르, 인도인의 서정을 표현하다
근대 인도의 서사시, 《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