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에서 논설위원으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저자가 재직시절에 신문에 사설을 썼던 내용들 중에서 추려서 만든 논평집이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16개의 큰 제목을 뽑고 그 아래에 7개 내지 10개의 작은 제목으로, 뜨겁게 일어난 사회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논평집을 내면서…
1. 끓어넘친 멜팅 포트’ 1) 99.94% 그 후 2) 서울대의 ‘기우와 독선’ 3) 교육의 술래잡기 4) ‘개악이 될까’ 걱정된다 5) 서울시의회, 왜 이러나 6) 끓어넘친 ‘멜팅 포트’ 7) 교육감 8) 교특법, 어디 갔나 9) 대학 좀 덜 가자 10) 국·공립대학
2. 거리의 난폭자 1) 수학능력시험 2) 어느 교통의경 3) 이면영 총장의 장거 4) 거리의 난폭자 5) 전 공무원의 모서(冒暑)훈련 6) 대학총장의 신사고 7) ‘최악의 체험’ 그 후 1년 8) 난항 겪는 고교체제개혁 9) 서울시 민선교육감 10) 만만한 교육부
3. 정국의 아킬레스건 1) ‘개악될까 두렵다’ 2) 정국의 아킬레스건 3) 5백만 대의 자동차 4) 독일 교통정책의 새방향 5) 자기부상열차 6) 학문의 근친상간 7) 수학능력시험의 공포 8) 공약남발과 리더십의 훼손 9) 서울시의 속단과 허풍 10) 한 아버지의 입시체험기
4. 자율 속의 획일 1) 선택의 기준은… 2) 유권자의 책무 3) 59만 응시생들에게 4) 고교평준화 개선의 전제 5) 교육대통령에게 거는 기대 6) 새 입시제도와 서울대 7) 자율 속의 획일 8) 입시부정과 대학의 자율 9) ‘유럽 단일시장’을 뚫자면… 10) 강한 대통령이 되려면…
5. 자본주의와 부의 사회환원 1) 지도자의 두 얼굴 2) ‘서울시장’ 고(考) 3) 하위직의 고학력화 4) 자본주의와 부의 사회환원 5) 순위감추는 대학평가제 6) ‘나무심기’도 바꿔야 한다 7) 도마 위에 오른 교육부 8) 국립교육평가원은… 9) 본고사 포기와 대학 자율성 10) 입학부정 뿌리 뽑자면…
6. 대학생들의 의식방황 1) 스승의 날 2) 대학정책실 3) 대학생들의 의식방황 4) 교육부의 실종위기 5) 기술인력의 유실 6) 교육 바로세우기 운동 7) 교육개혁위 왜 안 만드나 8) 고교 체제개혁 늦추지 말라 9) 한국학의 큰마당 10) 고 장관의 과잉의욕
7. 수도권 공화국의 과제 1) 한국교총의 공개질의 2) 수도권 공화국의 과제 3) 서울시 청사도 철거하자 4) 재산공개 그 후 5) 국립대학 많지 않다 6) 수능시험의 문제점은… 7) 교육재정 GNP 5% 논쟁 8) 근 백년철도의 새 과제 9) 말뿐인 복수지원제 10) 공교육 재원의 축소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