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살기 좋은 나라 스웨덴을 규정하는 대표적인 수식어는 ‘복지국가’이다.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것이 바로 스웨덴이 구축한 복지국가 모델이다. 스웨덴의 적극적인 고용, 실업, 취업 교육 정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국민들의 생활을 안정되게 만들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사회민주주의
제1장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비교·역사적 이해
1. 20세기 체제 경쟁
2. 스웨덴 사회민주당의 집권과 노선
3.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황금기: 렌 모델
4. 스웨덴 모델의 위기인가, 스웨덴 사민당의 위기인가?
5. 결론
제2장 노동, 자본과 경제정책
1. 머리말
2. 스웨덴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기
3.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사회민주당의 등장: 대공황과 실업문제
4. 사회민주당의 경제 정책: 완전고용과 인플레의 극복
5. 새로운 경제위기와 새로운 경제정책: 국제경제의 혼란과 사민당의 경제정책
6.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경제위기
7. 맺음말
제3장 복지제도와 복지정치
1. 머리말
2. 스웨덴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기
3. 사민당의 새로운 노선: ‘인민의 가정’
4. 전후 스웨덴 복지 체제
5. 복지제도의 조정과 복지정치
6. 맺음말
제4장 교육과 사회이동
1. 서론
2. 스웨덴의 교육
3. 계급과 교육
4. 교육과 계급이동
5. 결론
제2부 계급과 노동조합운동
제5장 계급타협의 형성과 위기
1. 서론
2. 계급과 계급타협
3. 계급타협의 성립 조건
4. 스웨덴의 계급 타협
5. 스웨덴 계급타협의 성립과 위기의 원인
6. 결론: 스웨덴의 계급타협의 이론적 함의
제6장 노동운동의 성과와 한계
1. 머리말
2. 스웨덴의 경제구조와 노조
3. 노조정치와 전략
4.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노조운동
5. 맺음말
제3부 정당 정치와 정치의식
제7장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와 보수정당
1. 문제 제기
2. 사회민주주의와 조정의 정치
3. 사회민주주의 헤게모니와 보수당의 ‘제3의 길’
4. 스웨덴 정당 체제와 보수당 정치 전략
5. 보수당 정권의 복지개혁: 복지 축소 없는 자유화
6. 결론
제8장 정치체제의 변화와 스웨덴 민주당의 등장
1. 문제 제기
2. 스웨덴의 정치변화
3. 자료와 분석 방법
4. 스웨덴의 사회의식 변화
5. 스웨덴 사회와 정당의 관계
6. 결론
제9장 스웨덴 복지 모델의 사회적 기초
1. 문제 제기
2. 복지정책의 사회적 토대
3. 교육: 기회 균등이냐 선택의 자유냐?
4. 결론
결론
제10장 산업화, 탈산업화, 세계화 그리고 21세기 스웨덴의 미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