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죽음정치적 노동’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한국의 개발의 역사를 다시 쓴 책이다. 군사 노동, 성 노동, 군대 성 노동, 이주 노동과 같은 주변화된 노동들이 과거의 신식민지에서 오늘날의 하위제국에 이르는 한국의 연속적, 중첩적 공간들을 밝히는 주요 영역임을 주장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감사의 말
역자 서문
서문___섹슈얼리티와 인종의 프롤레타리아화
제1장 대리적 군대․하위제국․남성중심주의 -베트남전의 한국
군사화하는 개발과 재-남성중심화하는 국가
베트남 파병의 이데올로기들-박정희 정권 하의 반공주의와 개발주의
국가적 의식(儀式)과 민족적 남성중심성의 스펙터클화
초국가적․국가적 군사 프롤레타리아화와 계급적․인종적 대리성
베트남에서의 한국의 하위군사주의와 하위제국주의
젠더화되고 섹슈얼리티화된 노동으로서 군인되기
민중적 영웅에서 남성 매춘으로-「장사의 꿈」에서의 성적 프롤레타리아화
일을 처리하기-살인과 고문의 남성중심화 과정
「몰개월의 새」와 「영자의 전성시대」에서의 (남성) 군사 노동과 (여성) 매춘
한국인 병사(GIs)와 베트남 여성 전쟁 로맨스, 성적 성장소설, 하위제국적 기지촌 소설
층위화된 남성성과 계급적 대리성 피의 화폐, 한 핏줄/한 나라, 혈맹
양가적인 민족적 동일시와 인종적 대리성
다중적인 인종적 동일시-중간적인 한국인
베트남의 기지촌(Camp Towns)/신흥도시(Boom Towns)
성적 인공신체로서의 베트남
상품을 위한 전쟁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
오늘날의 한국에서 베트남전을 기억하기
“오늘날”의 한국-베트남의 노동관계-시대교란의 문제
상징적 대리 노동-전쟁을 기억하는 성적 경제
결론
제2장 국내 매춘 -죽음정치에서 인공신체적 노동으로
국가적․초국가적 맥락에서의 “국내” 매춘
매춘과 죽음
섹슈얼리티화된 노동에서 성 노동으로
“국내” 성 노동과 그 밖의 초국가적 노동계급 여성 노동
민족적 남성중심성과 대중문화에서의 상업화된 성
딸의 효심(孝心)으로서의 매춘-「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의 성적인 자발적 희생(voluntarism)과 좌파 민족주의
사회적 노동으로서의 섹스와 겨울여자
가상적 섹스 상품으로서의 호스티스와 별들의 고향
노동으로서의 매춘 생존과 훼손, 그리고 은밀성
매춘과 거리에서의 생존-어둠의 자식들
「영자의 전성시대」-훼손과 인공신체적 저항으로서의 성 노동
은밀한 노동으로서의 성-섹슈얼리티 노동-미스 양의 모험
한국 남성의 은밀한 생활
성 노동에서의 선택 없는 행위력
결론
국내적 이주자의 문화
매춘에 대한 최근의 정부의 단속
제3장 군대 매춘 -여성중심주의, 인종적 혼종성, 디아스포라
독재정치와 매판자본 시대의 군대 매춘의 알레고리
“양공주”의 담론적 생산
「분지」-백인 여성에 대한 보복 강간으로서의 반미주의
「황구의 비명」-디스토피아적 요정의 나라로서의 기지촌
「아메리카」-알레고리에 대한 동일시적 조정
「국도의 끝」-탈알레고리화와 도덕적 가부장주의
1990년대의 군대 매춘에 대한 다시쓰기
-기지촌 가부장주의와 여성중심적 성 노동자들, 그리고 혼혈적 탈동일화
캠프 세네카의 기지촌에서의 기지촌 가부장주의
뺏벌에 나타난 기지촌 모계주의와 여성중심주의, 레즈비언주의
성의 군사화된 상업화-규율적인 수단들
경제적․성적 행위력의 재생
기지촌의 모계주의와 여성중심주의, 레즈비언주의
기지촌에서의 인종주의화와 인종적 이동성, 인종을 넘어선 계급적 제휴
유령 형의 기억에서의 인종적 혼종성과 모성혐오증의 남성성
혼혈아의 이중적 탈/동일화 과정-한국과 미국
기지촌 혼혈아의 유령 같은 정체성과 모성혐오증
국가와 인종을 넘어선 초월적 남성성
미군 기지촌과 “디아스포라”
김기덕의 <수취인불명>-기지촌에서의 노동과 죽음, 그리고 트랜스로컬리티
“군대신부”와 미국에서의 한국인의 디아스포라
오늘날 한국 기지촌에서의 이주 군대 성 노동자
결론
제4장 이주 노동과 이민노동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재규정
국가와 자본, 그리고 노동의 거래
인종적 국가와 다문화적 국가로서의 한국의 국가
노동이주와 이주 노동에 대한 법률과 규제
정부의 단속
한국의 고용주들
인종주의화와 인종차별, 그리고 인종적 폭력
인종주의화된 노동조건
인종주의화된 동네
산업적 사고와 상해, 죽음
이주 노동을 조직하기
한국의 노동 활동가들-동화주의와 준주변부적 규율
이주 노동자의 저항-동화, 반한주의, 죽음
다민족화와 다문화주의
탈인종주의화하는 억압과 한국인화하는 이주 노동자
다문화주의와 그 한계
이주 노동자 자녀의 교육 뿌리 없이 자라는 나무
월드컵 민족주의와 다민족적 한국
하위제국적 이민국가로서의 한국
“코리언 드림”
경제적 구성원의 지위와 재영토화, 그리고 견고한 시민권
박범신의 나마스테-이민 하위제국으로서의 한국
하위오리엔탈리즘적인 하위제국적 연애-어머니(모국), 아내, 학생으로서의 한국
이종적 혼합의 결혼과 아시아 여성의 이중적 알레고리화-하위제국의 팽창 혹은 다민족적 유토피아의 창조
트랜스네이션으로서의 한국과 트랜스로컬 주체로서의 이주민
결론
여성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주자”
오늘날 한국의 디아스포라-코스모폴리타니즘과 교육이민, 노동이주
범한국주의와 탈영토화된 하위제국, 그리고 재민족주의화
후기___한국의 근대화 과정의 예외성과 규범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