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이 어떠한 상황에서 태동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고대까지 거슬러 간다. 이 책에서 저자는 편견의 사회적·심리적 조건에 대해 탐구하면서 근대 이후 나타난 편견의 양상들을 분석하였다. 즉 인종적·종족적 편견, 종교적 편견 그리고 계급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성에 대한 편견들이 분석 대상에 망라되어 있다.
목차
서문
1. 존재론적·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가다머의 편견 개념 현재와 과거 계몽주의와 경험론적 편견 개념 던져짐과 지향 격정과 감정 개별적 주체와 개인
2. 사회적·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계층화와 기능 문화 공동체 과잉 일반화와 스테레오타입 동화, 이질화 그리고 문화적 기억 이해와 안정 책임으로부터의 도피 정체성 트라우마 상상력과 투사(投射)
3. 어째서 근대에 이르러 편견이 생겨났는가? 근대의 역동성 만족하지 못하는 사회 근대의 구조 근대의 구성 근대의 정치 자유 평등과 불평등 형제애 근대의 비판 지배적 세계관 현대 문화에 대한 물음
4. 인종·종족·종교적 편견들 인류학적 문화 개념 문화와 문명 고급문화 개념 문화적 담론 개념 덧붙이는 말: 진리의 개념에 관하여 인종주의 반유대주의의 전개
5. 악(惡)과 전체주의 세계사에 나타난 악의 기능 자연적인 악 도덕적인 악 전체주의의 발전 소비에트연방, 나치 독일 그리고 홀로코스트
6. 계급에 대한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그리고 성에 대한 편견 정적인 정의와 역동적인 정의 분배의 정의와 징벌적 정의 파르베누(Parvenus) 성에 대한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7. 철학적 편견 자연과학 개인적 편견 정체성에 대한 물음
후기 참고 문헌
서가브라우징
문명의 텍스트로 읽는 『국가』2018 / 지음: 김남두 / 세창
확신과 불신 : 소크라테스의 변론 입문2018 / 지음: 이현복 / 파라북스
돌파력 : 스토아 철학에서 배우는 스스로 운명을 바꾸는 힘2017 / 지음: 라이언 홀리데이 ; 옮김: 안종설 / 심플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