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
Ⅱ. 출생담의 연원과 설화문학의 세계
1. 신화적 영웅의 출생담과 작품 세계
1) 천신강림과 기원에 의한 인물의 출생
(1) 천신강림에 의한 신화 주인공의 신성성 강조
(2) 기원에 의한 신화 주인공의 출생과 천관념
2) 천강란과 의례를 통한 인물의 출생
3) 인생란을 통한 인물의 출생과 투쟁
4) 신화적 영웅의 출생담과 서사와의 상관성
2. 역사적 영웅의 출생담과 작품 세계
1) <김유신> 출생담과 성신
(1) 성신의 태몽과 존재본원의 상징
(2) 영웅소설의 기본모형으로서의 역사적 영웅
2) <서동> 출생담과 지략적 영웅
(1) 지략적 영웅의 왕위 등극 과정
(2) 국조신화적 출생담과 전설의 결합
3) <견훤>의 신화적 출생담과 신성성의 상실
(1) 신화적 출생과 인물의 비범성
(2) 신성성의 상실과 비극적 영웅
4) <강감찬> 출생담의 상징성
(1) 성신을 통한 존재본원의 상징과 영웅화
(2) 영웅소설 소재로서의 역사적 영웅
5) 역사적 영웅의 출생담과 서사와의 상관성
Ⅲ. 16·17세기 고소설 출생담의 전개 양상
1. 허구적 영웅의 출생담과 작품 세계
1) <최고운전>의 출생담과 자율적인 영웅
(1) 출생담의 이중성
(2) 출생담의 부정성(不淨性)과 자율성
2) <홍길동전>의 출생담과 투쟁적 영웅
(1) ‘대낮’의 용몽과 천출의 투쟁적 영웅
(2) 용몽 실현과 신분 문제의 해결
3) <금방울전>의 출생담과 도덕적 영웅
(1) 출생담의 다층성과 윤리의 결합
(2) 윤리와 친정에 의한 해원
4) <구운몽>의 출생담과 다층적 세계
(1) 윤회적 적강과 각몽을 통한 환원
(2) 양소유의 존재본원과 다층적 세계
5) <숙향전>의 천정성과 출생담의 구조화
(1) 기자치성과 천정에 의한 출생
(2) 전생담의 현실화와 천정실현
(3) 적강 출생담으로 인한 고난과 탐색의 병립
2. 16·17세기 허구적 영웅의 출생담과 서사와의 상관성
Ⅳ. 18·19세기 고소설 출생담의 전개와 변모
1. 조선후기 고소설의 출생담과 작품 세계
1) <유충렬전>의 출생담과 보수적 영웅
(1) 국가적 위기와 영웅 탄생 예언
(2) 인물 출생담의 전형성
(3) 수학을 통한 영웅성 획득
2) <장백전>의 출생담과 천명의 성격
(1) 적강의 출생과 천명에 의한 창업공신
(2) 출생담에 나타난 천명의 주체
3) <음양옥지환>의 출생담과 남녀영웅의 천정
(1) 출생담의 남녀 병립과 천정의 신물
(2) 남녀영웅의 천정 실현
4) <장화홍련전>의 출생담과 해원
(1) 1차 출생담과 실사의 함원
(2) 2차 출생담과 허구적 해원
5) <옥단춘전>의 출생담과 이상적 서서
(1) 출생담을 통한 서사갈등의 예시
(2) 출생담의 현실화와 애정영웅
6) <심청전>의 출생담과 효행의 관계
(1) 출생담에 나타난 적강과 효행
(2) 속죄의 희생효와 재생
7) <옥루몽>의 이원성과 출생담
(1) 출생담을 통한 천인양계의 분리와 소통
(2) 세계의 이원성과 인물 성격 및 관계의 지속
2. 조선후기 고소설의 출생담과 서사와의 상관성
Ⅴ. 출생담의 서사문학사적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