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지역화 동향
1. 다문화교육의 개념
(1) 다문화교육의 목적
(2)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개념
(3) 다문화교육의 유사 개념
2. 다문화교육의 맥락적 다양성
(1) 다문화교육의 다양성
(2) 다문화교육의 유형
3.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동향
(1)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필요성
(2)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모형
(3)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추진전략
Chapter 02 다문화현상과 지역사회
1. 다문화현실과 다문화공간의 형성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1) 전통적인 문화 개념의 한계
(2) 다문화주의의 성립 배경
(3) 다문화주의의 개념적 구조와 한계
(4)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3. 다문화사회,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문화공간에서 정체성
Chapter 03 다문화사회와 시민
1. 시티즌십의 의미와 내용
(1) 시민과 시티즌십
(2) 시티즌십의 내용
2. 다문화사회의 정체성
3. 세계화와 세계시민성, 지역정체성
(1) 세계시민성의 의미와 내용
(2) 제주인과 지역정체성
Chapter 04 우리 역사 속의 다문화양상
1. 머리말
2. 한국 고대사회의 다문화요소와 문화적 교류
3. 한국 중세사회의 다문화유형과 국가 정책
(1)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문화교류
(2) 고려시대 異民族의 귀화 유형과 諸정책
(3) 고려후기 제주 移居 元이주민과 通婚
4. 맺음말
Chapter 05 다문화 생태주의와 지역 지식
1. 머리말
2. 자연-사회의 관계와 자연구성주의
(1) 자연-사회 관계의 변화
(2) 자연구성주의
3. 환경윤리
(1) 보전과 보존
(2) 동물의 해방과 심층 생태학
(3) 사례
4. 환경 지역 지식과 지속가능한 공동재 관리
(1) 과학 대비 지역 지식
(2) 지속가능한 공동재 관리
5. 제주 세계평화의 섬: 인간 간 그리고 인간-자연 간 평화
(1) 제주 평화 관광: 역사·문화
(2) 제주 평화 관광: 자연생태
6. 다원적 관점 보론: 후기식민주의
Chapter 06 외국 다문화교육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2. 외국의 다문화교육 현황
(1) 유럽의 다문화교육
(2) 미주의 다문화교육
(3) 아시아 일본의 다문화교육
3. 외국과 한국 다문화교육의 과제
Chapter 07 제주 다문화교육 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한국 다문화교육 전달체계
3.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현황
4. 제주 다문화교육 전달체계
5. 제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천 현황
(1) 제주다문화교육센터
(2) 중점학교
(3) 정책연구학교
6. 제주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과제
(1) 제주 다문화교육의 의미
(2) 제주 다문화교육의 과제
(3) 제주 다문화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Chapter 08 다문화교육과 지역교육과정 운영
1.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
2. 다문화교육과정: 베넷의 의사결정 모델
3. 다문화교육과정의 편성 원리
(1) 다문화교육의 목적 선정
(2) 다문화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4. 다문화교육과정의 실행
5. 다문화관점과 지역교육과정 편성
(1) 다문화교육과 지역사회
(2)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의 기대효과
Chapter 09 문화반응교수를 적용한 초등 다문화교육
1. 문화반응교수
(1) 문화반응교수의 특징과 개념
(2) 문화반응교수의 필요성
(3) 문화반응교수의 주요 요소
2.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문화반응교수
(1) 다문화교육의 목적
(2) 다문화교육과 문화반응교수
3. 다문화가정 학생의 이해
(1) 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2)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화 이해
4. 문화반응교수를 적용한 다문화교실 수업 사례
(1) CRT 교사의 기본 신념 적용 수업 사례
(2) CRT 내용선정원리(IE) 적용 수업 사례
(3) CRT 학생참여원리(SE) 적용 수업 사례
(4) CRT 학습평가원리(LA) 적용 수업 사례
Chapter 10 학급 내 상호문화교육 탐색
1. 다문화주의 교수방법의 이론적 근거
2. 다문화주의 교수방법 개선의 현실적 근거
(1) 결혼이주민 자녀에 대한 사회적 분리
(2) 결혼이주민 자녀의 학습 부진
(3) 정주민 학생 대상의 상호문화교육 소홀
(4) 학교 안팎의 자민족중심주의적 풍토
3. 다문화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
4. 상호문화교육의 특징과 등장과정
5. 상호문화교육 모형
(1) 상호문화적 접근을 적용한 주요한 교육 분야
(2) 상호문화교육에서 주요한 교수법
Chapter 11 세계의 음악과 다문화교육
1. 개관
2. 제주지역 초등학교의 다문화학급 현황
3. 다문화음악수업의 실제: 문화의 ‘다름’과 ‘같음’ 그리고 ‘다문화감수성 함양’
(1) 베트남 음악의 이해
(2) 몽골음악의 이해
4. 다른 나라의 음악체험활동을 통한 다문화감수성 함양
(1) 풍가 알라피아: 나이지리아 동요
(2) 시마마 카: 탄자니아 동요
5. 다문화사회의 상호 ‘소통’ 방법 모색
Chapter 12 다문화수업 구성 및 비평
1. ‘다양성’과 역사학습
2. 역사 수업 실행: 고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신분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이 다름을 알기
(2) 시와 이야기를 읽으며 고려 사람들의 삶을 느껴보기
(3) 신분제도의 계층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바라보기
(4) 학생들의 생각을 매개로 ‘고려 사람들의 삶’ 생각하기
3. 역사 수업 성찰: ‘다양성’을 가르친다는 것
(1) 역사학습 내용의 다양성
(2) 역사 해석의 다양성
(3) 역사학습 방법의 다양성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