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민족공통성 시리즈 제2권 <민족과 탈민족의 경계를 넘는 코리언>은 코리언들의 민족정체성과 분단-통일의식을 다루고 있다. 제1장은 ‘민족공통성’이라는 프레임 위에서 한국인, 탈북자, 재중-재일-재러 코리언들이 가지고 있는 민족정체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목차
제1장 프레임의 전복과 해체: 코리언&디아스포라
1. 전복과 해체: 코리언 vs. 디아스포라
2. 패러다임의 전환: ‘코리언&디아스포라’
제2장 해외 거주 코리언의 민족정체성: 중층 결정적 정체성
1. 중층적 정체성: 인지-정서-신체적 정체성
2. 해외 거주 코리언의 인지-정서-신체적 정체성
3. 해외 거주 코리언의 중층결정으로서 민족정체성: 민족적 유대의 끈
제3장 민족정체성과 국민정체성의 경계에 선 한국-한국인
1. 해체-성찰적인 기획과 읽기: 삶의 독특성이라는 내적 맥락
2. 한국-한국인의 민족정체성과 국민정체성
3. 한국인의 국민개념 및 민족개념의 변화
제4장 한국-한국인의 아비투스와 분단체제
1. 한국-한국인이 생산하는 불통의 아비투스
2. 민족정체성의 해체적 재구성: 삼중적 어긋남과 민족공통성
3. 코리언의 민족정체성과 분단-통일의식 비교 연구의 필요성
제5장 분단국가의 균열과 코리언의 역사-민족-국제적 통일의식
1. 코리언의 분단-통일 연구의 방향
2. 코리언의 분단과 통일의식: 역사적-민족적-국제적 중요성
3. 분단-통일의식의 심층과 한국인의 통일 욕망
제6장 욕망의 어긋남과 민족적 합력 창출로서의 통일
1. 코리언의 분단 인식과 냉전적 국제 질서
2. 남과 북의 아비투스와 상호 극복의 방향
3. 분단극복을 위한 상호 소통적 가치: 새로운 통일론의 가능성으로서 ‘민족의 화해와 공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