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행정학 = An introduction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발행연도 - 2015 / 저: 유민봉 / 박영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50724
-
ISBN
9791130302119
-
형태
xxi, 689 p. 26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
행정이론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 행정학 제5판. 통계, 제도, 정책 등 사실을 중심으로 자료를 업데이트하고 문맥의 뉘앙스가 현 시점에 맞지 않는 부분들까지 고쳤다. 1980년대 이후 시장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던 행정학이 공공가치를 다시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Part1 행정과 행정학의 이해
Chapter1 실제로서의 행정: 행정현상
1. 행정의 실제에서 개념으로
2. 행정의 특성: 경영과의 차이
Chapter2 현상에서 학문으로: 행정현상→행정학
1. 접근방법
2. 행정학의 성격, 사명, 정체성 위기
3. 이 책의 구성: 행정체제모형
Part2 행정환경
Chapter3 일반환경
1. 정치적환경
2. 법적환경
3. 경제적환경
4. 사회적환경
5. 기술적환경
6. 글로벌환경
7. 행정과 환경
Chapter4 과업환경
1. 대통령
2. 국회
3. 법원, 헌법재판소
4. 비공식 환경: 제도화되지 않은 환경
Part3 행정내부환경
Chapter5 공공가치
1. 공공성
2. 공익
3. 행정이념
4. 과제
Chapter6 정부관: 정부의 규모와 역할
1. 정부관의 변천
2. 작은 정부
3. 신공공관리: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
4. 뉴거버넌스: 적정 규모와 역할의 유연한 정부
5. 한국적 맥락에서의 이해
Chapter7 행정문화
1. 의의
2. 관료제
3. 한구문화
4. 한국행정문화
Part4 결정시스템
Chapter8 정책결정
1. 정책의 의의
2. 결정모형
3. 좋은 정책결정
Chapter9 미션 · 비전 · 전략, 리더십
1. 미션 · 비전 · 전략
2. 리더십
Part5 집행시스템
Chapter10 정책집행
1. 의의
2.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정책(집행)수단
Chapter11 행정서비스
1. 서비스의 전달주체
2. 서비스의 전달대상
Part6 조직시스템
Chapter12 조직: 구조차원
1. 조직구조
2. 조직구조의 유형
Chapter13 조직: 관리차원
1. 게인 측면의 관리
2. 조직 측면의 관리
Part7 지원시스템
Chapter14 인사
1. 제도적 기반
2. 인적자원 관리활동
Chapter15 예산
1. 예산과정
2. 예산제도
Chapter16 행정정보화: 전자정부
1. 개념적 기반
2. 전자정부 유형
3. 실제적 기반
Part8 산출과 피드백
Chapter17 평가
1. 의의
2. 성과평가시스템: 균형성과표
3. 논리모형
4. 우리나라 평가제도: 정부업무평가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5 |
40대 | 2 |
50대 | 3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4 |
2017년 | 2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