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1.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2.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
3. 거시경제학의 관점
4. 거시경제학의 발전
제2장 국민경제의 구조와 측정
1. 거시경제모형의 1무분
2. 국민경제의 순환모형
3. 국내총생산
4. 여러 가지 국민소득의 개념
5. 국민소득계정과 항등식
6. 물가의 측정
7. 실업의 정의와 측정
8. 생산성
부록
A. 연쇄가중법과 고정가중법
B. 라스파이레식과 소비자물가지수
제2부 국민소득의 결정
제3장 국민소득의 결정
1. 단순모형과 승수이론
2. IS곡선-생산물시장의 균형조건
3. LM곡선-화폐시장의 균형조건
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제4장 IS-LM모형과 거시경제정책
1. 재정정책
2. 통화정책
3. 정책결합
4. 인플레이션기대와 IS-LM분석
제5장 경제개방과 거시경제
1. 생산물시장의 개방과 실질환율
2. 개방경제에서의 생산물시장의 균형
3. 지출조정정책과 지출전환정책
4. 구매력평가와 실질환율
제6장 국제자본이동과 거시경제
1. 자본자유화와 국제자본이동성
2. 이자율평가
3. 변동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
4. 고정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
5.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
6. 신흥시장경제의 약진과 글로벌 불균형
제3부 국민소득과 물가
제7장 총수요-총공급 모형
1. 일반균형모형의 필요성
2. 총수요곡선
3. 총공급곡선
4. 노동시장의 이해
5. 총공급곡선의 도출
6. 경제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부록
A. 노동공급곡선의 도출
B. 고전학파 모형
제8장 총공급곡선의 이해
1. 단기총공급곡선
2. 기대형성과 총공급곡선
제9장 실업
1. 실업의 종류
2. 자연실업률
3. 실업과 경기변동
4. 비자발적 실업
5. 유럽의 동맥경화증
제10장 인플레이션과 물가안정정책
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2. 인플레이션의 비용
3. 필립스곡선
4. 물가안정정책
5. 디플레이션
부록
A. 마크업 모형에 의한 필립스곡선의 도출
제11장 경기안정정책 논쟁
1. 대공황과 거기경제정책
2. 거기경제정책 논쟁
3. 재량적 정책과 준칙에 의한 정책
4. 경기안정정책은 불필요한가?
제4부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제12장 소비와 저축
1. 절대소득이론
2. 소비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3. 평생소득이론
4. 항상소득이론
5. 항상소득이론과 유동성 제약
6. 저축의 동기
제13장 투자
1. 투자의 형태와 경제적 역할
2. 자본의 한계효율이론
3. 자본의 사용자비용이론 - 신고전적 접근
4. 주택투자
5. 재고투자
제14장 재정과 정부부채
1.정부지출과 재정수입
2.재정적자와 총수요
3.정부부채와 재정위기
부록
A. GDP대비 정부부채 비율 변화식의 도출
제5부 화폐와 금융
제15장 화폐수요와 공급
1. 왜 화폐가 중요한가?
2. 화폐의 기능과 정의
3. 화폐의 공급
4. 화폐수요의 결정
5. 화폐수량설과 화폐의 유통속도
제16장 통화정책
1. 통화정책의 운용
2. 통화정책과 신용경로
3. 물가안정목표제 통화정책
4. 양적완화 통화정책
5. 테일러준칙 하에서의 총수요-총공급 모형
제17장 금융시장과 금융위기
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2. 채권과 수익률곡선
3. 주식시장과 주가
4. 금융시스템 위험과 금융위기
제6부 장기 경제성장
제18장 경제성장
1. 신고전적 성장이론
2. 자본의 신개념
3. 내생적 성장이론
4. 경제성장의 요인
5. 한국경제의 성장 과제
부록
A. 경제성장모형의 수식
제19장 경기변동과 거시경제학의 신조류
1. 화폐적 균형경기변동론
2. 실물적 경기변동론
3. 새 케인즈학파와 메뉴비용모형
부록
A. 2기간 실물적 경기변동모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