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외교문서, 기행문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서구의 조선 인식과 접근, 조선의 서구 인식과 대응을 서술하였다. 1부 '한국의 열강 접근', 2부 '고종의 외세 대응', 3부 '열강의 한국 접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Foreword
제1부 한국의 열강 접근
1장 조선은 미국을 어떤 국가로 인식했을까
1. 조선 사회의 미국 인식은 어떠했나
2. 고종은 미국을 세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인식했다
3. 미국인들을 특별 대우했다
4. 워싱턴에 주미공사관을 설치한 이유는
5. 미국을 활용해 근대화를 추구했다
6. 미국을 활용해 청에 대항했다.
7. 미국을 외교 자문으로 활용했다
8. 미국을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9. 미국에 대한 고종의 기대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2장 조선은 프랑스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1. 수교 전후 조선 사회의 프랑스 인식
2. 고종은 프랑스와의 수교의지가 강했다
3. 지배층은 왜 프랑스를 배척했을까
4. 서민들은 프랑스인을 어떻게 대했을까
5. 고종은 왜 프랑스에 접근했을까
6. 고종은 프랑스를 어떤 용도로 활용했을까
7. 대한제국에게 프랑스는 어떤 의미를 지녔을까
3장 조선은 일본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1. 일본과의 수교를 주도했다
2. 일본으로부터 근대화의 도움을 받으려 했다
3. 일본의 동양평화론에 관심을 표명했다.
4. 일본의 군사력에 관심을 보였다
5. 일본의 망명자 비호를 경계했다
6. 일본을 이용하여 러시아를 견제하려 했다
7.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주시했다
4장 조선은 러시아를 어떻게 인식했나
1. 러시아의 첫 인상은 어떠했을까
2. 러시아와 수교한 까닭은
3. 러시아의 도움으로 국권을 유지하려 했다
4. 러시아를 경계한 이유는
5. 러시아를 활용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했다
6. 러시아가 한반도 중립화를 지원하기를 기대했다
7.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는
제2부 고종의 외세 대응
5장 고종은 왜 파천을 시도했을까
1. 1896년의 아관파천
2. 1898년의 미관파천, 영관파천 타진
3. 러 일의 대립과 파천 추진
6장 고종은 왜 황제가 되려 했을까
1. 칭제 논의의 개시
2. 신료의 칭제 건의 의도
3. 고종의 칭제 의도
4. 칭제에 대한 열강의 반응
7장 고종은 어떻게 영세중립국을 추구했나
1. 미국을 통한 중립화를 시도했다
2. 유럽 열강과의 긴밀한 외교를 추진했다
3. 국제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4. 중립화 추진세력은 국제정세를 어떻게 인식했나
5. 중립화는 왜 실패했을까
8장 고종은 왜 공사를 파견했을까
1. 고종의 공사 파견 시도
2. 청일전쟁 발발 직후 공사 파견
3. 대한제국 수립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
4. 의화단사건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
5. 제1차 영일동맹 체결 직후 고종의 공사 파견
6. 러일전쟁 발발 전후 고종의 공사 파견
9장 고종은 왜 징병제 시행을 못했을까
1. 징병제 시행을 처음 논의한 때는
2. 의화단사건 때 징병제실시론
3. 영일동맹과 징병제실시론
4. 징병제는 왜 무산됐나
제3부 열강의 한국 접근
10장 미국은 조선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1. 미국은 왜 중국의 한국 지배를 반대했을까
2. 조선 주재 미국 공사는 어떻게 해서 자유재량권을 행사했을까
3. 조선을 보는 긍정적 시선
4. 조선을 보는 부정적 시선
5. 미국 공사가 조선 문제에 적극 개입한 배경은
6. 미국 공사가 조선에 대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배경은
7. 미국은 어떤 방식으로 조선을 지원했을까
8. 미국 공사가 기피한 조선 정치인은
9. 미국 공사가 선호한 조선 정치인은
11장 영국은 조선을 어떤 시각으로 보았을까
1. 영국은 고종의 외교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2. 주요 정치인 인식
3. 주한 영국 공사가 가장 경계한 정치인은 누구였을까
4. 제1차 영일동맹 체결 이후 영국 공사는 대한제국에서 무슨 일을 했을까
12장 프랑스는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을까
1. 고종 인식
2. 양반, 관리층 인식
3. 민중 인식
13장 일본은 왜 대한제국과 군사협정을 체결하려 했을까
1. 1894년 조일공수동맹
2. 1900년의 한일군사동맹 교섭
3. 고종의 삼국동맹 검토
4. 박제순의 방일과 한일동맹 교섭
5. 제1차 영일동맹과 한일군사동맹
6. 러일전쟁과 한일동맹
14장 열강은 독립협회운동을 어떻게 보았을까
1. 미국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2. 프랑스는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3. 영국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4. 러시아는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5. 일본은 독립협회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15장 열강은 대한제국의 영세중립국 추진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1. 미국의 대응
2. 프랑스의 대응
3. 러시아의 대응
4. 영국의 대응
5. 일본의 대응
16장 서구인은 대한제국의 주권 상실 원인을 어떻게 분석했을까
1. 미국의 분석
2. 프랑스의 분석
3. 영국의 분석
4. 러시아의 분석
17장 100여 년 전 열강이 조선을 보는 시선은 현재의 대한제국에 어떤 시사를 줄까
1. 서구인들은 조선인의 자질을 어떻게 인식했을까
2. 서구인들은 조선의 발전 가능성을 어떻게 예측했을까
3. 서구인들은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무엇이라 인식했을까
4. 서구인들의 지적이 현재의 한국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