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사회 : 북한의 대중문화
발행연도 - 2012 / 민병욱 지음 / 살림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06777
-
ISBN
9788952217929
-
형태
94 p. 19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일반 전집, 총서
>
2인 이상의 일반전집, 총서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북한/통일론
책소개
살림 지식총서 408권. 북한의 다양한 연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사회가 어떤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문화를 형성, 발전시켜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예술이 곧 정치 이념이며, 혁명의 주제만이 통용되는 고집불통의 문화. 하지만 이러한 불변의 문화를 살펴보는 동안,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현재 대중문화의 참된 의의를 되새기고, 대중문화의 자율성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누게 될 것이다.
목차
예술의 종류
연극의 종류와 제작, 검열
「피바다」식 혁명가극과 5대 혁명가극
「성황당」식 혁명연극과 5대 혁명연극
민족가극의 재발견
경희극과 극 작품들
영화의 종류와 제작, 보급
민족예술영화와 「아리랑」
다부작 영화와 「조선의 별」
정탐물 영화와 가족영화
다부작 「민족과 운명」과 가벼운 장르 영화
탈북자가 뽑은 최고의 북한 영화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