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이소희[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회장]
머리말 / 박종성[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출판이사]
Ⅰ. 아프리카 출신 작가들의 반서구적 사유의 양상 -저항, 전유, 속죄
민족문학과 근대성 -응구기의『마티가리』를 중심으로 / 이석호[원광대학술연구교수/(사)아프리카문화연구소장]
알레고리를 통한 탈식민 상황 읽기 -아체베의 『모든 것이 무너지다』 / 이성진[서남대교수]
J.M. 쿳시의 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야만인을 기다리며』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하여 / 왕은철[전북대교수]
Ⅱ. 인도계 작가들의 새로운 저항의 가능성
탈식민주의 존재양태로서의 혼종성 -루시디의『악마의 시』를 중심으로 / 전수용[이화여대교수]
아룬다티 로이 -식민주의와 그 변종들, 그리고 탈식민주의를 위한 저항 / 박혜영[인하대교수]
Ⅲ. 이산자와 이민자의 존재방식과 정체성
1950년대 런던의 흑인 도시 산책자 -샘 셀본의『외로운 런던인들』 / 이정화[조선대교수]
탈식민주의 시대의 이산의 보편성 -나이폴의『자유국가에서』 / 박종성[충남대교수]
영국 이민자 문학의 탈인종적 변신 -하니프 쿠레이쉬의『도시 교외의 부처』 / 홍덕선[성균관대교수]
Ⅳ. 카리브해 여성들의 반제국적 목소리
크레올 여성의 정체성과 존재양식 -진 리스의『드넓은 사가소 바다』 / 이경민[충남대 박사과정]
자메이카 킨케이드의『작은 곳』과『애니 쟌』 -카리브 포스트/식민 공간에 대한 탈식민적 재해석 / 이경란[이화여대 HK연구교수]
Ⅴ. 지배담론의 균열과 틈새 읽기
지배담론을 전복하는 트라우마 서사 -마거릿 애트우드의 『눈먼 암살자』 / 이귀우[서울여대교수]
기억의 정치학 -피터 캐리의 『켈리 일당의 실화』 / 이석구[연세대교수]
역사적 진실 찾기 -마이클 온다치의『아닐의 유령』 / 육성희[숙명여대 교수]
문화지리학적 경관미학과 영국성 -카주오 이시구로의『지난날의 잔재』 / 김영주[서강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