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은 교육으로 작동한다. 30년 동안 대학과 교육 문제를 연구한 뉴욕 시립 대학교 대학원 교수인 스탠리 아로노위츠가 계급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노동 계급과 육체노동을 적대시하는 미국의 교육을 노동 계급의 관점으로 진단한 교육 비평서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죽은 학교 1장 계급은 교육으로 작동한다 ― 어느 노동 귀족의 이야기 교육 개혁의 가시밭길 졸업하느냐 죽느냐 뿌리 깊은 반지성 사회 2장 학교 교육에 반대한다 ― 불평등이 규범이 된 오늘의 학교 문턱의 높이는 다르다 일하려고 산다 대중문화가 지배하는 진짜 세계 일터는 교육의 장 또래 압력과 계급 문화 진정한 지식인 교사가 필요하다 3장 세계는 다시 뒤집혔다 ― 적응이 아닌 대안을 향해 새로운 인클로저 시대 창조를 가로막는 교육 문제는 대안
2부 삶의 교육 4장 대학 교육은 공공재다 ― 자원과 윤리 사이에서 비틀거리는 대학 대학 교육을 둘러싼 투쟁 공교육의 우여곡절 또는 좌충우돌 시장이 지배하는 커리큘럼 5장 잃어버린 낙원을 찾아서 ― 자유의 부재에서 혁명은 시작된다 지식 상품 위기의 정체 선동하는 시장 혁명의 출발점 6장 안녕들 하십니까, 프롤레타리아 교수님 ― 상상력의 연대와 대안의 가능성 공장, 고용주, 대기소 전쟁 의존 시대의 대학 주식 시장의 붕괴와 대학 프롤레타리아 교수들 저항을 넘어서는 대안 7장 대학을 지배하는 노조, 대학을 지키는 노조 ― 새로운 세계를 위한 대학 공동체 교수 지배권의 적? 교수노동조합과 교직원노동조합 8장 배움은 노동자의 권리다 ― 노동조합과 노동자 교육 뒷걸음질하는 노동자 교육 교육, 사회를 바꾸는 힘
3부 교육 혁명 9장 행동하는 사람이 세계를 이해한다 ― 그람시의 교육 철학과 유기적 지식인 시민사회의 힘 형성적 교육 학교는 이데올로기 장치다 10장 교육은 혁명의 미래다 ― 다시 읽는 프레이리와 해방의 교육학 페다고지와 방법론 진정한 휴머니즘과 페다고지 혁명에서 급진적 민주주의로 미래를 향해 권력을 공유하기
참고 자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세월호라는 기표 : 교육은 4.16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2019 / 외 지음: 김종구 / 교육공동체벗
나는 87년생 초등교사입니다: 열정과 타협 사이에서 흔들리는 밀레니얼 교사들의 이야기2020 / 지음: 송은주 / 김영사
나는 1학년 담임입니다 : 엄마는 모르는 초등 1학년의 학교생활2016 / 지음: 송주현 / 낮은산